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
‘대통령 면담 차단’ 의혹 등 일축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은 4일 진영 전 보건복지부 장관의 사퇴와 관련해 “진 전 장관은 기초연금을 국민연금에 연계해야 한다는 소신을 갖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기초연금을 국민연금이 아니라 소득 수준에 연계해 차등 지급하자는 의견을 청와대가 받아들이지 않아 사퇴했다”는 진 전 장관의 주장을 정면 반박하며, 장관직 사퇴 파동을 진 전 장관의 ‘변신’ 탓으로 돌린 것이다.
대통령실 결산심사를 받기 위해 취임 이후 처음으로 국회 운영위원회의에 출석한 김 실장은 진 전 장관 사퇴 배경에 대한 류지영 새누리당 의원의 질의에 “진 전 장관은 당 정책위의장, 선대위 국민행복추진위원회 부위원장,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내고, 또 복지부 장관으로 들어와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을 연계하는 것이 여러가지로 필요하다는 소신을 갖고 일을 추진해 온 분이었다”며 “갑자기 소신과 다르다고 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해서 국무총리도 업무 복귀를 설득하고 했는데도 기어이 사퇴했다”고 말했다. 이에 최동익 민주당 의원이 “진 전 장관은 지난 3월 인사청문회에서 기초연금을 국민연금과 연계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고, 사퇴 표명 이후에도 그렇게 얘기했다”며 “김 실장이 (진 전 장관의 소신에 대해) 사실과 다른 얘기를 하고 있나, 아니면 허위보고를 받았나. 진 전 장관한테 직접 확인했나”라고 따져 물었다. 그러자 김 실장은 “진 전 장관으로부터 직접 들은 것은 아니다”며 한발 물러섰다.
김 실장은 진 전 장관이 사퇴 전 박근혜 대통령과의 면담을 신청했으나 청와대 비서실로부터 거절당했다는 한 언론의 보도에 대해서도 “진 전 장관은 박 대통령이 주재하는 국무회의에도 참석하는 등 충분히 대통령을 만날 기회가 있었다”며 “진 전 장관은 한번도 면담 요청을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해당 보도에 대해선 “정정보도를 청구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기초연금 대선공약을 파기했다는 야당 의원들의 지적에 대해선 “사정 변경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조정한 것이지 파기가 아니다”며 “임기 중 재정 여건이 나아지면 지급 대상을 상향하겠다”고 맞받았다.
김 실장은 청와대의 채 전 총장 ‘찍어내기’ 의혹에 대해선 “청와대가 그 일에 관여하거나 개입한 일은 전혀 없다”며 “검찰로서도 매우 불행하고 불명예스럽겠지만 검찰총장의 사생활, 품위, 도덕성의 문제에 지나지 않는다”며 야당에서 제기한 ‘청와대 기획설’을 부인했다. 김 실장은 ‘조선일보의 채 총장 혼외아들 보도 직전에 김 실장이 조선일보 인사를 만났다’는 의혹의 사실 여부를 묻는 전해철 민주당 의원의 질의에도 “전혀 그런 사실이 없다”고 했다. “서청원 전 한나라당 대표의 10·30 재보선 공천에 청와대가 개입하지 않았냐”는 질문도 나왔지만, 김 실장은 “전혀 아는 바가 없다”고 말했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