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태 검찰총장 후보자가 27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변호사 사무실을 나서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김진태 검찰총장 후보에 쏠린 눈
“검찰조직 하루빨리 정상화하고
현안 사건들 철저 수사 해달라”
박대통령 두가지 주문
김 후보자 향후 행보에 전망 엇갈려
“검찰조직 하루빨리 정상화하고
현안 사건들 철저 수사 해달라”
박대통령 두가지 주문
김 후보자 향후 행보에 전망 엇갈려
27일 검찰총장 후보자로 지명된 김진태(61·사시 24회) 전 대검찰청 차장은 지난 4월 검찰을 떠난 지 반년 만에 조직의 수장으로 화려하게 복귀하는 절차를 밟게 됐다. 하지만 청문회를 비롯한 그의 앞길은 ‘시계 제로’라고 할 만큼 캄캄하고 혼란스럽다. 국가정보원의 불법 대선개입 사건 수사를 둘러싼 내분으로 검찰 조직이 절체절명의 위기를 맞고 있고, 사건의 실체를 둘러싼 여야 공방이 정국의 뇌관으로 떠오른 상황이다. 풀어야 할 숙제는 어느 것 하나 만만한 게 없다.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은 박근혜 대통령이 김 후보자를 지명한 배경을 “검찰 내 주요 보직을 두루 거쳐 경험과 경륜이 풍부하고, 청렴하고 강직한 성품으로 검찰 내 신망이 두터운 분(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 수석은 “김 후보자는 전직 대통령 비자금 사건과 전직 대통령 아들 사건, 한보비리 사건 등 국민적 이목이 집중되었던 사건들을 법과 원칙에 따라서 엄정하게 처리한 분”이라며 “검찰 조직을 하루빨리 정상화하고, 현재 현안이 되고 있는 사건들을 공정하고 철저히 수사해 마무리하라는 게 대통령의 두 가지 주문”이라고 전했다.
박 대통령이 국정원 사건 수사를 적시하진 않았지만, ‘현안이 되고 있는 사건’이라고 에둘러 표현하며 김 후보자에게 신속·엄정한 처리를 주문했다는 것이다. 김 후보자가 전직 대통령과 대통령 아들 비리 등을 수사했던 ‘특수통’임을 유달리 강조한 것은, ‘청와대가 김 후보자를 통해 사건을 적당히 끝내려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불식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검찰이나 정치권 안팎에선 김 후보자의 향후 행보에 대한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김 후보자는 청와대가 채동욱 전 총장과 심각한 갈등을 빚은 뒤 낙점한 인사인데다,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이 아끼는 후배로 알려져 있다. 결국 김 후보자가 ‘청와대의 의중’에 신경을 쓸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야당은 “김 실장이 또 한 명의 대리인을 검찰총장으로 보내 검찰을 장악하려는 시도가 아닌지 우려된다”(민주당 김관영 대변인)며 경계하고 나섰다.
검찰 내부에선 총장이 되고 나서도 예전의 좋은 평가를 이어갈 수 있을지 의문을 표시하는 시선이 많다. 한 부장검사는 “업무처리를 정의롭게 잘한다는 평가를 받던 분이다. 다만 이런 시기에 지명됐으니 청와대와 충분히 교감했을 텐데 앞으로 어떻게 할지 지켜볼 일”이라고 말했다.
김 후보자가 국정원 사건 외에 사분오열된 검찰 조직을 잘 추스를 수 있을지 걱정하는 시각도 있다. 김 후보자의 별명이 ‘군기반장’일 정도여서 후배 검사들과 잘 융화할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검찰의 다른 부장검사는 “후배 검사는 물론 함께 일하는 직원들에게조차 혹독했다는 평가가 많다. 조직을 품어 안을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했다.
우선은 김 후보자가 현재 진행중인 조영곤 서울중앙지검장과 윤석열 전 특별수사팀장 등 국정원 사건 수사축소 외압 논란과 관련한 감찰 결과를 어떻게 내놓을지가 향후 그의 행보를 가늠할 첫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한 대검 간부는 “김 후보자는 절대 하극상을 용납하지 않는다. 감찰도 굉장히 빡빡하게 진행할 것이다. 이미 청와대에서 주문이 있지 않았겠느냐”고 말했다.
석진환 김원철 기자 soulfat@hani.co.kr
[시사게이트] 박근혜 ‘댓통령’ 만든 ‘댓글 공작’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