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만에…최대 4㎞ 남하
남 경고통신 2시간뒤 북상
군당국 “의도적” 분석
남 경고통신 2시간뒤 북상
군당국 “의도적” 분석
한-미 연합 군사 훈련의 첫날이자 이산가족 상봉의 마지막 날인 24일 밤 북한 경비정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세 차례 침범해 우리 군이 즉각 대응에 나섰던 것으로 확인됐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25일 국방부 정례 브리핑에서 “어젯밤 10시56분부터 오늘 새벽 2시25분까지 연평도 서방 13노티컬마일(23.4㎞) 해상에서 북한군 경비정 한 척이 북방한계선을 세 차례 침범했다. 우리 군의 즉각적이고 강력한 경고 통신 등 대응 조치에 따라 (북한군 경비정이) 북방한계선을 넘어 북상했다”며 “이번 북한의 북방한계선 침범 행태는 훈련 또는 검열의 일환으로 보이며, 의도적인 월선에 의한 도발 가능성에 대해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군 경비정은 북방한계선을 최대 2.2노티컬마일(약 4㎞) 정도 침범한 것으로 알려졌다. 마지막 남하한 새벽 0시25분께 우리 군은 북한 경비정에 엔엘엘 침범 사실을 통보하고, “북상하지 않으면 강력한 조치를 취할 것이다. 이후 발생되는 모든 책임은 북한에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북한 경비정은 2시간 정도 북방한계선 남쪽에 머물다 돌아갔다.
올해 들어 북한 함정이 북방한계선을 넘어온 것은 처음이며 지난해 8월 이후 6개월 만이다. 군 당국은 이번 침범이 24일부터 시작된 키 리졸브 연습에 대한 북한의 의도적인 도발로 분석하고 있다. 김 대변인은 “북한 경비정의 행태를 작전적으로, 정보적으로 분석한 결과, 의도적인 것으로 평가했다”며 “훈련이나 검열을 빙자한 북방한계선 무력화 책동으로 우리 군의 대응을 시험할 목적이 아니었나 보고 있다”고 말했다.
군 당국은 북한이 지난달 16일 서해 5도 등 최전방 지역에서 군사적 적대 행위를 중지하자는 자신들의 ‘중대 제안’을 스스로 어겼다는 평가도 내놨다. 김 대변인은 “우리 군은 절차에 따라 대응했다. 북한의 추가적 도발에 대비해 훨씬 더 우세한 군사적 수단을 현장에 배치했다”고 밝혔다.
하어영 기자 hah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