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조땐 증언대 설 가능성 높자
‘친박’인데도 선제적으로 두둔
책임 추궁에 “허위사실” 흥분
‘친박’인데도 선제적으로 두둔
책임 추궁에 “허위사실” 흥분
친박(친박근혜)계 핵심인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5일 국회 긴급현안질문에서 이명박 정부 시절 이뤄진 해외 자원개발 외교를 적극 옹호하고 나섰다. 여야 합의에 따라 자원외교 국정조사가 실시될 경우, 증언대에 설 가능성이 높은 최 부총리가 계파를 뛰어넘어 선제적으로 이명박 정부를 두둔하고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긴급현안질문은 자원외교 국정조사 전초전을 연상하게 했다. 새정치민주연합에서 ‘엠비(MB) 정부 국부유출 자원외교 진상조사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노영민 의원이 “참여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자원외교) 차이가 뭐냐”고 묻자, 최 부총리는 “참여정부에서도 (자원외교) 55건 중 28건이 실패했지만 그때는 (국회가) 국정조사를 안 했다. (이명박 정부 때도) 그런 리스크가 있었다는 점을 봐야 한다”고 맞섰다. 여야가 자원외교 국조 실시를 합의한 상황에서, 친박 실세인 최 부총리가 친이(친이명박)계 못지않게 대야 전선의 최선두에 선 모양새다. 새정치연합은 이명박 전 대통령과 이상득 전 의원과 더불어 당시 지식경제부 장관을 지낸 최 부총리도 국조에 증인으로 나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 부총리는 “엠비 정부 당시 자원외교로 나간 총 26조원 사업 중 절반이 최경환 당시 지경부 장관 때 추진된 것”이라는 김제남 정의당 의원의 ‘돌직구’ 추궁에는, “허위 사실이다. 저는 엠비 정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때 자원외교를 총괄하지 않았다”고 반박하며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정부도 최 부총리 지원에 나선 모양새다. 최근 산업부 공무원들은 ‘해외자원개발 현황 및 주요 쟁점’이라는 제목의 53쪽 분량 보고서를 들고 긴급현안질문에 나설 일부 여당 의원들을 찾아갔다. 이 보고서에는 “자원개발은 엠비 정부 때 공기업 투자 규모는 증가하였으나 전반적 성적은 참여정부와 유사”하다며 이명박 정부를 두둔하는 내용이 주로 담겨 있다. 또한 “주요 의사결정은 공기업 사장이 이사회를 거쳐 결정하고 있음에도 (최경환) 장관 개입 주장은 정치공세”라며 ‘최경환 책임론’을 부인하는 내용도 실려 있다.
서보미 기자 spr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