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정치일반

문재인 “박 대통령, 국민보다 ‘문고리 3인방’ 중시”

등록 2015-01-26 10:16수정 2015-01-26 10:44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당대표 후보가 지난 1월 15일 오후 광주시 남구 청소년수련원에서 ‘한겨레’ 와 인터뷰하고 있다. 광주/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당대표 후보가 지난 1월 15일 오후 광주시 남구 청소년수련원에서 ‘한겨레’ 와 인터뷰하고 있다. 광주/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국민들이 요구하면 읍참마속이라도 해야…
인적 쇄신 없으면 민심으로부터 외면당할 것”
“(대통령이) 국민보다 김기춘 실장과 문고리 3인방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민심을 너무 모른다.”

박근혜 대통령의 인사 문제에 대해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26일 “국민을 나누는 두 국민 정치로 통합에 실패했다”고 비판했다.

오는 2월8일 열리는 새정치민주연합 전당대회에서 당대표직에 출사표를 던진 문의원은 이날 CBS <박재홍의 뉴스쇼>에 출연해 “(문고리 3인방에 대한) 대통령의 의존도가 큰 자체가 문제다. 시스템 안에서 부여된 권한과 역할 이상으로 대통령이 의존하게 되면 결국 그것이 직책을 넘는 시세가 되는 것이고 국정농단으로 이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국민들이 요구하면 읍참마속이라도 해야 하는데 인사위에서 너무 사적인 감정에 치우치고 있는 것 아닌가. 개인적 의존이라든가 개인적 신뢰를 국민 여론보다 중시한다”고 ‘문고리 3인방’을 쏙 뺀 인사가 이뤄진 점을 꼬집었다.

문 의원은 이어 “김기춘 실장과 문고리 3인방이 없으면 국정운영을 할 수 없다는 것인데, 민심을 너무 모른다고 생각한다. 전반적 인적쇄신 없으면 민심으로부터 외면당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은 지난 23일 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를 국무총리로 내정하는 등 나름의 조직개편을 통해 인사에 변화를 줬지만, 문제가 된 문고리 3인방이나 비서실장의 영향력은 오히려 더 커지게 됐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문 의원은 또 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를 총리로 내정한 데 대해서도 “국민 통합을 해내려면 야당과 안면이 있는 사람이 아니라, 반대쪽 50%를 포용할 수 있는 인물이 되어야 한다”며 “지금 신임총리 내정자는 말하자면 또다시 예스맨인데, 국민통합의 역할을 제대로 해낼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문 의원은 “대통령의 가장 큰 문제가 지금 국민을 나누는 두 국민 정치”라며 “그것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는 곳이 인사문제”라고 말했다.

이명재 민정특보와 우병우 민정수석 등 검찰 특수통 출신이 청와대에 새롭게 합류한 데 대해서도 문 의원은 “두 사람 모두 검찰총장과 법무장관보다 대선배들로, 검찰을 장악하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정말 걱정된다”고 말했다. 특히 이 정부 들어 새롭게 도입된 ‘민정특보’라는 직책 자체에 대해서도 ‘옥상옥이 되고 로비의 창구가 될 것’이라고 염려했다. “특보 제도는 역대 정부에서 명예직이었다. 실제로 뭔가 역할을 가지려 한다면 기존 시스템과 중복되면서 옥상옥이 될 소지가 있다. 특히 특보들은 겸직이 허용되는데, 예컨대 법무법인에 재직하며 민정특보 겸직한다면 정부나 검찰에 대한 로비가 더 커지고 비리의 대문을 활짝 열어주는 결과가 될 것”이라는 것이다.

이같은 부작용을 고려하지 않은 조직 개편이 이뤄진 데 대해 문 의원은 “당장 그때그때 필요를 우선시하고 부작용에 대해선 통찰이 없다”고 꼬집으며 “검찰을 장악하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새로 승진한 민정수석이 검찰 총장이나 법무부장관보다는 후배이기 때문에 이제 민정수석만으로는 검찰을 제대로 통제할 수 없다고 보고 그래서 이제 훨씬 대선배인 민정특보를 사상 유례없이 앉힌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최근 논란의 대상이 된 연말정산을 필두로 한 증세 논란에 대해서는 “일정 규모 이상의 대기업에 한해 법인세율을 부자 감세 이전의 수준으로 정상화해야 한다”며 “대기업과 부자들의 세부담부터 늘리고, 그래도 부족하다면 언젠가는 국민들의 동의를 얻어 보편증세로 나아가는 것이 순서”라고 지적했다. 또 당시 세제개편을 추진하며 추가 증세 문제에 대해선 국민들을 속인 당시 장관인 최경환 경제부총리도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한다고 비판했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1.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2.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3.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4.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5.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