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영호남 벽 허물 수 있는 사업” 역설
문재인 대통령이 1일 가야사 연구와 복원 작업을 국정과제에 포함시켜 영호남 공동 사업으로 추진하자고 제안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 여민1관 소회의실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약간 뜬금없는 이야기일 수도 있는데”라고 운을 떼며 “가야사 연구 복원을 국정기획위가 정리 중인 국정과제로 포함시켜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보통 가야사가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경북까지 미치는 이런 역사로 생각들 많이 하는데 섬진강 주변, 그다음에 또 광양만, 순천만 심지어는 남원 일대 그리고 금강 상류 유역까지도 유적이 남아 있는 넓은 역사”라며 “가야사 연구 복원은 영호남 벽을 허물 수 있는 좋은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 고대사가 삼국사 중심으로 연구돼, 이전 고대사는 연구가 제대로 안 된 측면이 있고 특히 가야사는 신라사에 덮여서 제대로 연구가 되지 않았다”며 아쉬움도 드러냈다.
문 대통령은 부산·경남 지역공약으로 지역 숙원사업이던 ‘가야 문화권 개발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 등을 약속한 바 있다. 영남·호남·충청권 일대를 ‘가야 문화권’으로 엮어 사업을 진행하면 지역통합의 의미도 살릴 수 있다. 문 대통령이 대학 때 역사학과 입학을 생각할 정도로, 개인적으로 역사에 관심이 깊다는 점도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대통령 스스로도 ‘약간 뜬금없는 이야기일 수 있다’고 했듯, 국정운영 과제로 큰 그림을 그려야 할 시기에 지역개발 계획과 관련한 고대사의 복원을 지시한 것은 다소 이례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문 대통령에 앞서 김대중·노무현 정부 때도 가야사 복원 작업이 추진된 바 있다. 김해시는 그동안 고대 가야 영토였던 김해, 함안, 창녕 등지의 유적을 살려 경주에 버금가는 역사문화관광도시로 조성하는 사업을 꾸준히 추진해 왔다. 김대중 정부 때 예산 1290억여원이 투입돼 1단계 정비사업(2000~2004)을 마쳤으나, 노무현 정부 때인 2006년엔 2단계 사업을 추진하려다 사업용지 매입 예산이 부족해 잠정 중단됐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