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일 공석 중인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에 이목희(65) 전 의원을 임명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 부위원장은 노동운동가 출신으로 한국노동연구소장과 제17, 19대 국회의원을 역임했고 노동·복지와 관련된 국회 상임위원회와 당내 위원회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활동해왔다”며 “노동, 복지 분야를 아우르는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현 정부의 소득주도 성장, 일자리 창출의 선순환 구조를 구현해낼 수 있는 적임자다”라고 설명했다.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난달 7일 이용섭 전 부위원장이 6·13 지방선거에서 광주시장에 출마하려고 사퇴하면서 비어 있었다.
일각에선 이 신임 부위원장이 열린우리당 의원이던 2005년 비정규직의 사용기간을 2년으로 하고, 파견 업종을 확대하는 비정규직법 처리를 주도해 기업들이 비정규직을 양산하는 빌미를 줬다는 비판이 있다. 그는 통화에서 “비정규직법이 부족함은 있었지만 당시 상황에선 분명한 전진이었다”며 “이명박·박근혜 정부가 이 법을 철저히 집행했다면 비정규직 문제가 지금보다 훨씬 호전돼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고용 문제를 잘 해결해온 선진국 사례를 벤치마킹하고, 지금까지 해온 관행을 벗어나 창의적인 해법을 찾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이날 국토교통부 2차관에 김정렬(57) 국토교통부 교통물류실장을 임명했다. 김 2차관은 국토부 1급 이상 고위직 중 유일한 검정고시 출신이다. 군산고 2학년 때 집안 형편이 어려워져 학업을 중단했다가 이후 검정고시에 합격해 한국방송통신대에서 행정학을 전공했다. 행정고시 32회인 그는 지난해 9월 도로국장(2급)에서 교통물류실장(1급)으로 승진한 데 이어, 이번에 6개월여 만에 다시 차관으로 고속승진했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지난해 6월 취임 직후 ‘명문대를 졸업한 행정고시 출신 50대 남성’으로 압축되는 기존 고위직 인사 관행에서 벗어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김 차관은 국토부 고위 관료 중 유일한 무주택자이기도 하다. 경기도 안양시에 아파트 전세권만 보유하고 있다.
성연철 허승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