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기술

새물질 ‘초고체’ 존재 규명

등록 2010-11-19 09:27수정 2010-11-19 10:14

김은성(39) 카이스트 물리학과 교수
김은성(39) 카이스트 물리학과 교수
카이스트 김은성 교수팀
김은성(39·사진)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은 18일 기체·액체·고체를 뛰어넘는 초고체가 실제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규명해 논문이 <사이언스> 온라인판 19일치에 실린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2004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에서 박사과정 중에 고체 헬륨으로 초고체 현상을 처음 발견한 뒤 올해 초까지 <네이처> <사이언스> 등에 논문을 발표했으나 일부 과학자는 온도에 따른 고체 헬륨의 고전적·일반적 물성 변화에 기인한 것이라는 반론을 제기해왔다. 하지만 김 교수와 연구팀의 최형순(30) 박사는 고체 헬륨을 매우 빠른 속도로 회전시켜 초고체 상태가 파괴되는 현상을 관측함으로써 실제로 초고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근영 선임기자

[한겨레 주요기사]
▶ 남에게만 들이대는 ‘MB식 공정사회’
▶ 현정은, 정주영 묘소서 “이제야 현대건설 되찾았다”
▶ 부채가구 4곳 중 1곳 돈 벌어 빚 못 갚는다
▶ 미·중·일 ‘슈퍼컴 속도경쟁’ 가속화
▶ 수능, 까다롭게 비틀어 출제…만만한 영역 없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