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기술

‘꿈의 소재’ 그래핀 상용화 길 열었다

등록 2011-01-18 20:19수정 2011-01-19 09:42

그래핀 캡슐
그래핀 캡슐
울산 과기대·서울대 공동 연구팀 ‘할로 셸’ 개발
약물 전달체 등에 적용 가능
지난해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그래핀’은 실리콘에 비해 전자이동도가 100배 이상이고, 강철보다 100배 강한데다 열전도도 구리의 10배가 넘어 꿈의 미래 소재로 꼽힌다. 그러나 ‘부뚜막의 소금도 넣어야 짜듯’ 그래핀을 실용적으로 이용하려면 자유자재로 가공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의 차국헌 교수와 울산 과학기술대(UNIST) 친환경에너지공학부 김병수 교수 공동 연구팀은 최근 약물 전달체나 바이오센서 등에 쓰일 수 있는 캡슐 모양의 ‘그래핀 할로 셸’(그림)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팀은 둥근 공 모양의 작은 지지체 위에 플러스 전하를 띠는 그래핀과 마이너스 전하를 갖는 그래핀을 순차적으로 쌓아올린 뒤 지지체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할로 셸 구조를 만들었다. 이런 방법으로는 다른 나노구조체와 섞어 짜는 ‘혼성화’가 가능해, 연구팀은 금 나노입자와의 혼성화를 실증해보였다. 연구 논문은 미국 화학회에서 발행하는 물리화학분야 유명 학술지인 <저널 오브 피지컬 케미스트리 레터스>(JPCL) 최근호에 실렸다.

논문 제1저자인 홍진기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화학공학과 박사후과정 연구원은 “그래핀은 매우 단단한 결합으로 붙어 있는데 이 그래핀 필름에 기공을 넣는 방법은 그래핀 응용 연구의 발판이 될 것”이라며 “할로 셸 구조를 활용하면 전혀 새로운 약물 전달체나 바이오 센서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금 나노구조와의 혼성화에 성공함으로써 철, 팔라듐, 단백질, 디엔에이, 효소, 유리, 화합물 등 거의 모든 물질과 혼성화가 가능한 그래핀 할로 셸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덧붙였다. 이근영 선임기자

<한겨레 인기기사>

최중경 아내, 사고로 아빠잃은 아이들 땅까지 사들여
YTN에도 ‘블랙리스트’ 있나…박원순 방송불가
오세훈, 무상급식 주민투표 철회
정보가 너무 많아서…무인항공기 ‘오폭’
풀무원 도전장 ‘라면 쟁탈전’ 시작되나
“바이어는 등돌리고…적자만 쌓인다”
한명숙 재판 “0.1초 먼저 일어났다” 입씨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