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기술

‘나만의 고유 유전자’ 쉽게 뽑아낸다

등록 2011-03-01 19:12수정 2011-03-01 21:44

연구팀, 스닙 검출 시스템 개발
맞춤 치료법 개발에 도움 될듯
인간 유전체(게놈)에는 1000개의 염기마다 1개꼴로 다른 부분이 있다. 이를 단일염기다형성(SNP·스닙)이라 하는데, 개인의 유전적 차이가 여기서 발생한다. 이 차이로 개인마다 머리카락 모양이나 색깔 등 고유한 특성이 생긴다. 이런 유전적 특이성 때문에 90% 이상의 약물이 30~50%의 사람들에게만 작용한다고 의과학자들은 보고 있다. 스닙 검출은 향후 맞춤의약 및 치료법 개발에 필수적인 기술이다.

포항공대(포스텍)의 김진곤 화학공학과 교수와 김원종 화학과 교수, 양승윤 미국 하버드대 연구원(박사후과정) 등 공동연구팀은 1일 ‘블록공중합체로 만든 초고밀도 나노채널’로 복잡한 물리화학적 방법 없이 간단하게 스닙을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의 논문은 곧 발간될 유명 저널 <나노레터스>에 게재될 예정이다.

연구팀은 나노채널에 이중사슬로 돼 있는 탐침을 달아 디엔에이(DNA) 조각들이 잘 들러붙도록 함으로써 디엔에이에 들어 있는 스닙의 검출률을 높였다. 이 나노채널은 머리카락 굵기의 1만분의 1 수준인 15나노미터(㎚·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미터)로 기존 디엔에이칩보다 2배 이상 작고 정밀해 스닙 검출 정확도가 훨씬 높다.

김진곤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스닙 검출 시스템은 분석 뒤 붙어 있는 디엔에이를 떼어내 다시 쓸 수 있는 장점도 있다”며 “연구 성과는 유전자 변이 외에도 다양한 바이오 분자 검출과 정제에 응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근영 선임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1.

과학자들은 외계인의 존재를 얼마나 믿을까?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2.

영양 가득 ‘이븐’하게…과학이 찾아낸 제4의 ‘달걀 삶는 법’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3.

온 우주 102개 색깔로 ‘3차원 지도’ 만든다…외계생명체 규명 기대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4.

2032년 소행성 충돌 위험 2.2%로 상승…지구 방위 논의 시작되나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5.

시금치·양파·고추…흰머리 덜 나게 해주는 루테올린의 발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