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소도서국연합 의장인 앤티가바부다의 개스턴 브라운 총리. 위키미디어 커먼스
2015년 도출된 파리기후협정은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 폭을 2도 훨씬 아래로 유지하고, 1.5도로 제한하기 위한 노력을 추구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지구촌이 숙명적 과제로 삼은 ‘1.5도의 정치’가 시작된 결정적 배경에, 대부분은 낯설법한 섬나라들이 있다. SIDS(Small Island Developing States), 즉 ‘작은섬 개도국들’이다.
몰디브, 투발루, 키리바시 등의 작은 섬나라들은 저지대에 위치한 작은 연안국들과 함께 1990년부터 군소도서국연합(AOSIS)을 꾸려 기후협상에서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39개국 군소도서국연합의 인구와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 세계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 하지만 이들의 발언력은 적지 않다. 아니 적을 수 없다. 때로 협상의 성패를 좌우할 정도다. 기후변화 유발 책임이 가장 덜하면서도 최대 피해자가 되고 있는 처지가 이들의 목소리에 힘을 실어 준다.
실제로 이들에게 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은 국가의 존망이 달린 문제다. 몰디브, 투발루 등은 머지않아 거주가 불가능하게 되고 결국 사라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키리바시를 비롯한 일부 나라 주민들은 이미 이웃 피지에 이주지를 마련하는 등 난민으로 전락하고 있다.
국력이 미미한 이들이 그 이상의 영향력을 협상에서 행사할 수 있는 또 다른 이유는 유엔기후변화협약 특유의 의사결정 구조 때문이다. 모든 결정을 전체 회원국 합의로 도출하게 한 것이다. 아무리 작은 나라라도 명시적으로 반대하고 나서면 결정이 이뤄질 수 없다는 점에서 모든 나라에 거부권이 부여돼 있는 셈이다.
군소도서국연합은 이번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기후변화 취약국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라는 목소리를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은 지난 9월 COP26을 겨냥해 발표한 지도자 선언문에서 선진국들의 화석연료 보조금 지급을 파리협정 의무 위반으로 규정하고 군소도서국에 대한 지원 확대를 촉구했다. 연합 의장인 카리브해 섬나라 ‘앤티가바부다’의 개스턴 브라운 총리는 언론 발표문에서 “지원은 우리 앞에 놓인 도전이 요구하는 속도에 응답할 수 있어야 한다”고 즉각적 대응을 강조했다. 저들의 도전은 ‘번영’ 이전 ‘생존’이기 때문이다.
김정수 선임기자
jsk21@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