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가 떨어지자 갯벌에서 먹이를 먹던 마도요가 무리를 지어 마이포 습지에 내려 앉고 있다. 몸길이가 60센티미터 가량으로 덩치가 가장 큰 도요중 하나인 마도요는 긴부리가 아래로 휘어져 있어 갯벌에 숨어있는 게를 잘 잡아 먹는다.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새들의 천국’ 홍콩 마이포 습지 자연보호구역
프릿 프릿 물떼새의 비상...황홀하다, 숨이 막힌다.
프릿 프릿 물떼새의 비상...황홀하다, 숨이 막힌다.
한 탐조객이 스코프를 어깨에 맨 채 조류관찰소로 가고 있다. 마이포늪 조류 관찰소는 갯벌에서 먹이를 먹는 물새들에게 위협을 주지 않는 거리에 눈에 띄지 않게 서 있다. 관찰소 안에는 이곳에서 서식하는 새들의 안내 그림판이 붙어 있어 탐조객들이 새를 식별하는 데 도움을 준다.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조용하다. 아무런 인공의 소리가 없는 환상 속의 자연이다. 파란 하늘아래 푸른 물, 대나무 창처럼 날카롭고 맑은 햇살과 투명한 공기. 천국이 있다면 이런 곳이리라는 느낌이 든다.

휴식을 취하던 마도요들이 주변의 인기척에 놀아 한꺼번에 날아 오르고 있다.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트릭 트릭 튜튜튜튜~” “트리리-잇, 치리리”. 조그만 소리로 “킷 킷 킷”나다가 다시 “휘잇 휘잎”한다. 숨을 죽이고 다시 귀를 기울인다. 문자로 표현하기 정말 어렵다. 아! 그래. 여기는 바로 우리가 동심으로 노래하던 ‘강남’이었다. 속세적인 ‘강남’ 이 아니라, 겨울에 제비가 추위를 피해 날아가던 바로 그 ‘강남’이었다. 물찬 제비 한 마리가 빠른 속도로 수면 위를 난다. 반갑다. 저 제비는 과거 언젠가, 그리고 미래 언젠가는 한국에서 만날 그런 제비일 것 같다.

흰배뜸부기는 검게 보이는 몸의 윗면이 흰색의 가슴·배와 뚜렷한 대조를 보인다. 우리나라엔 잘 찾아 오지 않으며 워낙 은폐 능력이 뛰어나 야생에서 관찰하기가 매우 어렵다. 뜸부기는 정력에 좋다는 ‘설’ 때문에 사람들에 의한 희생이 많았고, 농약 사용등으로 서식 환경이 파괴되어 수가 크게 줄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 봄 충남 태안의 천리포수목원에서 발견된 적이 있다.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가늘고 위로 휘어진 부리가 특징인 뒷부리장다리물떼새 수백 마리가 한꺼번에 날아 올라 멋진 군무를 펼치고 있다. 우리나라 낙동강이나 천수만등에서 가끔 발견되는 희귀한 나그네새로 홍콩에서는 2003년 2월에 무려 5673마리가 발견되기도 했다.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머리에 검은색 긴 머리깃을 한 댕기물떼새가 습지에서 먹이를 찾고 있다. 불규칙적이고 드물게 홍콩을 찾는 겨울철새인 댕기물떼새는 우리나라 해안과 습지 등에서 일부 개체가 관찰되기도 한다. 김진수 jsk@hani.co.kr
긴꼬리때까치가 출입금지를 알리는 안내판 위에 앉아 먹이를 먹고 있다. 마이포 습지의 일부 지역은 탐조객들이 새들에게 지나치게 가깝게 접근하는 것을 막기 위해 출입을 제한하고 있다. 김진수 js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