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천 유실 `인재 의혹' 철저 규명
정부와 열린우리당은 18일 하절기 집중호우에 대비하고 홍수조절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임진강, 남한강, 남강 등 3개 수역에 다목적댐을 추가로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당정은 이날 오전 강봉균(康奉均) 정책위의장과 추병직(秋秉直) 건설교통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협의회를 열어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고 변재일(卞在一) 4정조위원장이 전했다.
변 위원장은 "임진강, 남한강, 남강 수역의 경우 현재의 홍수조절 능력으로는 집중호우에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며 "임진강 등 3개 수역에 추가로 댐을 건설하는 등 홍수조절능력 강화가 필요하다는데 당정이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수해가 기상이변이 아니라 기상변화에 따른 것이라고 할 때 3개 수역에서 발생하는 수해에 대해선 댐 건설이 유일한 해결책일 수 있다"며 "제방 추가건설 등 다른 대안은 댐건설에 비해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고 말했다.
건교부는 남한강 상류의 영월댐과 한탄강댐, 문정댐 등의 건설사업을 추진하다 환경단체와 지역주민의 반발로 보류 또는 중도포기했었다.
건교부는 또 신규 건설댐으로 화북댐(경북 군위), 부항댐(경북 김천), 성덕댐(경북 청송)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군남 홍수조절지(경기 연천) 건설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당정은 이와함께 기상이변에 대비해 소양강댐 등 기존 댐의 홍수조절 능력을 강화하고 대도시지역의 홍수관리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재점검하기로 했다.
다만 추가 댐 건설에 따른 환경단체와 지역주민의 반대여론을 고려해 당정은 사회적 공감대를 확보하는 작업을 충분히 진행할 예정이다.
변 위원장은 "추가로 건설될 댐의 위치, 규모, 시기 등은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확정하는 것"이라며 "정부가 치수 및 홍수조절 능력 확대라는 목적에서 댐 건설을 밀어붙일 수 없는 만큼 국민적 합의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변 위원장은 안양천 둑 부분유실 사태와 관련, "안양천 둑 유실은 인재라는 의견이 있다"며 "국민적 의혹이 없도록 원인을 정확하게 밝힐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노효동 정윤섭 기자 rhd@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