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연안 44% 침식 우려·심각
“무분별 개발 탓”…동해안 심해
“무분별 개발 탓”…동해안 심해
전국 백사장과 모래언덕의 절반 가까이에서 침식이 우려할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안도로와 제방 건설, 골재채취 등 바닷가의 무분별한 개발에 태풍 피해 등이 겹쳐 일어나는 현상으로 특히 동해안에서 심각한 상태다.
16일 해양수산부가 지오시스템리서치 등에 맡겨 지난해 전국 62곳의 해수욕장과 사구를 대상으로 침식이력을 조사해 등급을 매긴 연구용역 보고서를 보면, ‘우려’ 수준은 21곳, ‘심각’은 6곳으로 전체의 44%가 보통 이상의 침식상태를 보였다.
‘우려’ 등급을 받은 해수욕장 가운데는 부산 광안리와 해운대, 강원도 경포대와 정동진리, 충남 안면읍 꽃지해수욕장 등이 포함돼 있다.
정동진 해안은 해안도로를 확장하고 하천정비를 한 뒤 백사장 경사가 급해지고 있으며, 꽃지해수욕장은 모래언덕이던 백사장 배후지가 개발되고 콘크리트 옹벽이 쳐진 뒤 해안 3.4㎞가 침식되고 모래사장의 자갈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각’ 판정을 받아 시급한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 강원도 강릉시 성덕동 남항진리 해안은 방파제 건설 이후 군부대의 해안 철책이 쓰러지는 등 1.85㎞ 길이의 해안에서 침식이 나타나고 있으며, 삼척시 원덕읍 호산해수욕장도 골재채취와 호산항 건설로 토사공급의 균형이 깨지면서 해안 1.3㎞가 깎여나가고 있다.
또 충남 태안군 고남면 운여해수욕장은 대규모 규사채취와 호안건설 이후 침식이 심각해져 새로 지은 호안이 붕괴될 위험에 놓여있다.
동해안의 연안침식은 특히 심해, 강원도의 16개 조사지점 가운데 8곳이 ‘우려’ 4곳이 ‘심각’ 판정을 받았다. 경북에서도 해안 6곳 가운데 포항시 송도 해수욕장 등 4곳이 ‘우려’, 죽변면 봉평리 해안은 ‘심각’한 침식수준을 보였다.
김무홍 해양수산부 연안계획과 사무관은 “연안침식은 주로 종합적인 영향을 검토하지 않은 해안매립이나 도로나 방조제 건설 등 인위적 요인으로 생긴다”며 “정확한 침식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장기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