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 유역별 상수원수 바이러스 검출률
식수오염 대책 ‘구멍’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집단감염 사고가 전국적으로 빈번히 발생하는데도 이로 인한 먹는물 오염을 막기 위한 정부의 관리대책이 겉돌고 있다.
지난해 수도권에서 집단급식 환자가 2천여명 발생하는 등 노로바이러스로 인한 집단식중독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자, 정부는 한명숙 총리의 지시로 지난달부터 학교·집단급식소·우물·마을상수도 등 전국의 먹는물로 쓰이는 지하수에 대한 수질관리 일제조사를 벌이고 있다.
그러나 환경부·복지부·교육부 등이 하고 있는 지하수 조사에서 노로바이러스는 검사항목에서 빠져 있다. 정부는 대장균 등 오염이 심한 것으로 드러난 곳에 한정해 추후에 노로바이러스를 분석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해 김상종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핀란드에서 노로바이러스로 인한 집단식중독이 식수오염 때문으로 밝혀졌는데, 대장균이 검출되지 않은 곳에서도 노로바이러스가 나왔다”며 이번 일제조사의 신뢰성에 의문을 나타냈다.
한편, 국립환경과학원은 4일 2002~2006년 동안 전국 96개 정수장 취수원수의 바이러스 분포실태를 조사한 결과, 82%인 79곳에서 한번 이상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정부가 채택하고 있는 세포배양법으로는 노로바이러스 등을 애초에 검출할 수 없어 상수원수나 수돗물이 이 바이러스로 오염됐는지 알 수가 없다. 지영미 질병관리본부 간염폴리오바이러스팀장은 “급성장염의 주 원인인 노로바이러스와 로타바이러스 등은 세포배양법으로는 검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