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의 수온이 연평균 0.06℃씩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지구 해양의 수온이 연평균 0.04℃씩 상승하고 있는 것과 비교할 때 수온 상승 정도가 1.5배 가량 빠른 것이다.
한국해양연구원은 28일 이 같은 내용의 `기후변화에 따른 동해 해수순환과 중장기 변동 반응 및 예측 연구'의 중간결과를 발표했다.
이재학 책임연구원은 "동해 해수면의 평균 수온은 1985년 이후 연평균 0.06℃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고, 우리나라 연안 해수면은 1993년 이후 연평균 6.4㎜ 올라갔다"면서 "이는 최근 20년 간 전 지구 해양의 연평균 수온 상승률 0.04℃와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 3.1㎜보다 1.5∼2배 빠르다"고 밝혔다.
이 같은 결과는 일본기상청의 1891∼2005년 해수면 온도자료, 1920년부터 현재까지 세계 해양 데이터베이스, 1992년 이후 인공위성 고도계자료 등을 분석해서 얻었다고 연구원은 밝혔다.
연구원은 분석 결과 최근 100년 동안 동해 해수면의 수온은 약 2℃ 상승했는데, 1940년대와 1980년대 이후 수온이 단기간에 급격히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해 중에서도 북한 연안인 북서해역의 수온 상승률이 가장 컸다고 말했다.
아울러 즉각적인 기후변화와 연동이 되는 동해 심층 기온은 최근 40년 간 1천m 수심에서는 0.1℃가, 2천500m 수심에서는 0.05℃가 각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원은 밝혔다.
바다 심층 수온의 변화는 밀도차에 의해 이뤄지기 때문에 주로 100년 주기로 이뤄지는데 40년 만에 이같이 수온이 상승한 것은 이례적이라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아울러 우리나라와 일본의 동해연안 해수면은 최근 30년 간에는 연평균 3.2㎜가, 최근 14년 간에는 연평균 6.4㎜가, 최근 9년간에는 연평균 6.5㎜가 상승했는데, 1990년대 들어 급격히 높아진 상승률이 최근까지 유지되고 있다고 연구원은 말했다. 연구원은 "현재 기상청에서 앞으로 기후변화를 예측해 대응책을 담을 국가 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만들고 있는데, 해양변화 부문의 경우 현재 진단과 향후 예측 등이 모두 미흡하다"며 "정부와 정치권이 국제기후변화협약에 대한 대책을 만드는 데 집중하기 보다는 우리나라 주변해양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예측을 토대로 본질적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율 기자 yulsid@yna.co.kr (서울=연합뉴스)
아울러 우리나라와 일본의 동해연안 해수면은 최근 30년 간에는 연평균 3.2㎜가, 최근 14년 간에는 연평균 6.4㎜가, 최근 9년간에는 연평균 6.5㎜가 상승했는데, 1990년대 들어 급격히 높아진 상승률이 최근까지 유지되고 있다고 연구원은 말했다. 연구원은 "현재 기상청에서 앞으로 기후변화를 예측해 대응책을 담을 국가 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만들고 있는데, 해양변화 부문의 경우 현재 진단과 향후 예측 등이 모두 미흡하다"며 "정부와 정치권이 국제기후변화협약에 대한 대책을 만드는 데 집중하기 보다는 우리나라 주변해양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예측을 토대로 본질적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율 기자 yulsid@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