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내년 350곳 오염실태 파악
환경부가 지하수의 노로바이러스 대책에 나섰다.
이는 최근 빈발하는 집단식중독의 주요 발병 원인이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지하수로 추정되는데도 환경당국이 적극 대응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한겨레〉 3월5일치 12면)에 따른 것이다.
환경부는 29일 발표한 ‘지하수 가운데 노로바이러스 관리대책안’에서 올해 20곳에서 시범조사를 벌인 뒤 내년에는 조사 지점을 350곳까지 늘려 정확한 노로바이러스 오염 실태를 파악해 적극적으로 대책을 세우기로 했다.
환경부는 또 바이러스 분석법을 통일하려 이달 안에 기존의 세포배양법에 유전자분석법을 조합한 새로운 검출방법을 정하기로 했다. 새 방법은 식품의약품안전청이 노로바이러스 검출에 썼던 유전자검색법에 지하수에서 바이러스를 걸러내는 전처리 방법을 합친 것이다. 세포배양법에 비해 유전자검색법은 폭넓고 신속하게 바이러스를 검출할 수 있지만, 죽은 바이러스까지 검출해 감염력 여부를 가릴 수는 없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