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지보호 지역인 한강 하구 장항습지의 현재 모습
정부, 한강하구·해수욕장 등 97km 단계철거 발표
철책선이 제거된 상상도. 도로변 철책선은 소음과 빛을 막는 숲으로 바뀌고, 군 작전도로는 생태 탐방길로, 2차 철책은 야생동물 보호담장으로 이용된다. 한강유역환경청 제공
한강 하구인 경기도 김포와 고양시에 있던 23.5㎞ 길이의 군 경계 철책을 포함해 전국 해안가에 설치된 군 철조망이 단계적으로 철거된다고 국무조정실이 30일 밝혔다. 정부는 올해 안에 피서객이 많이 찾는 해수욕장과 민가 밀집지역, 관광지 등에 있는 철책 97.2㎞를 철거하기로 했다. 전체 경계철책 644.3㎞의 15%다. 주문진 해수욕장 등 강원도 지역 54곳과 해운대 청사포, 인천 송도 등 남·서해안 23곳, 한강 하구가 여기에 해당한다. 강원도는 해수욕장 개장 전에 철거를 끝내기로 했다. 정부는 계속해서 2008∼09년에 경계취약지역 40.6㎞의 군 철책 철거를 추진하고, 09년 이후에도 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남은 약 500㎞의 철조망을 모두 철거·개선해 나갈 방침이다. 한편, 한강유역환경청은 이날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 보전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보면, 김포시 쪽 철책선은 철거한다. 습지보호지역이 있는 고양시 쪽 철책선은 △자유로 쪽 1차 철책은 제거하고 △군 작전도로는 자연학습 탐방로로 활용하며 △한강 쪽 2차 철책선은 야생동물 보호담장으로 이용한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보호조처가 시작된 한강 하구에 일반인의 접근이 늘어나는 데 따른 훼손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일고 있다. 윤순영 야생조류보호협회 이사장은 “재두루미의 먹이 터인 김포 쪽은 무방비고 잠자리인 고양 쪽도 탐방객으로 교란을 받을 게 분명하다”며 “시야가 갑갑한 2차 철책을 넘어 들어가려는 탐방객의 욕구를 어떻게 관리할지도 과제”라고 말했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이재명 기자 ecothin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