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재생에너지 공급 비중 추이
정부, 풍력·태양광 등 집중해 현재 3배 목표로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육성 의지는 강력하다. 지난 해 전체 1차 에너지의 2.27%에 불과한 신·재생에너지 공급 비중을 2011년 5%, 2030년에는 9%로 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언뜻 이 수치만 보면 그리 높은 목표는 아니라고 할 수도 있다. 앞으로 20여년 동안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3% 수준에서 9% 수준으로 3배 정도 높이는 게 뭐 그리 대단하냐고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내용을 보면 얘기가 달라진다.
보통 신·재생에너지라고 하면 요즘 각광받는 풍력이나 태양광, 연료전지, 바이오에너지 등을 떠올린다. 하지만 이런 신·재생에너지는 전체 신·재생에너지에서도 5% 안팎에 불과하다. 형태별 신·재생에너지 공급 비중(2005년 기준)을 보면, 폐기물에 의한 공급 비중이 75.9%, 수력이 18.8%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정부는 신·재생에너지의 95%를 차지하는 폐기물이나 수력에 크게 의존하지 않고, 비중이 5% 안팎인 풍력, 태양광, 연료전지 등을 집중적으로 육성해 전체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10% 가까이 늘리겠다는 것이다.
올해 정부 계획에서도 이런 의지가 읽힌다. 정부는 지난 해 530만TOE(석유로 환산한 t)였던 신·재생에너지 공급량을 올해 570만TOE로 7.5% 늘리기로 했다. 하지만 풍력은 6만2천TOE에서 21만7천TOE로 250%, 태양광은 8천TOE에서 2만7천TOE로 237.5% 확대하기로 했다. ‘선택과 집중’이라는 전략에 따라 산업적으로 파급효과가 큰 부문을 집중 육성하겠다는 것이다.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예산도 풍력, 태양광, 수소·연료전지, 석탄 가스화복합발전(IGCC) 등 4개 분야에 집중 투입된다. 산업자원부는 올해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예산의 73%인 879억원을 4개 분야에 지원하기로 했다.
산자부는 또 태양광주택 10만호 보급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전북지역에 축산분뇨를 이용한 바이오가스 열병합발전 설비를 시범적으로 보급하는 등 지역 특성에 맞는 지방보급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건설교통부의 ‘국민임대주택 100만호 공급계획’과 연계해 국민임대아파트에 태양광발전기를 설치하고, 복지시설에 대한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하는 등 에너지와 복지의 연계를 추진 중이다.
정석구 선임기자
정석구 선임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