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통영시와 남해군에서 적조발생으로 양식어류 44만여마리가 폐사한 가운데 16일 다시 양식어류 12만여마리가 폐사했다.
이날 통영시 산양읍 저림리와 삼덕리 해상 2곳의 해상가두리 양식장에서 조피볼락 4천900여마리, 농어 7천여마리, 쥐치 1만7천여마리 등 2만9천여마리의 양식 물고기가 폐사해 4천300여만원의 추가피해가 발생했다.
남해군 미조면과 남면 해상 2곳의 해상가두리 양식장에서도 참돔과 우럭 9만여마리가 폐사해 어민추정 1억여원의 피해가 났다.
적조주의보가 발령된 남해군 미조면~앵강만~삼동 물건리 해상과 통영시 연대~한산 곡용포 해상에는 유해성 적조생물인 코클로디니움이 각각 ㎖당 50~3천800개체를, 300~1천200개체를 보이고 있으며 확산되고 있다.
이에따라 통영시와 남해군은 전해수 황토살포기와 형망선, 바지선 등 선박 200여척과 해군 방제정, 동원해 적조발생 해상을 중심으로 황토를 뿌리는 등 적조방제작업을 벌이고 있다. 통영시와 남해군 관계자는 "비가 내리자 소강상태를 보이던 고밀도 적조가 맑은 날씨로 일조량이 증가하자 확산되면서 양식중인 어류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며 "적조방제작업과 함께 양식어류의 출하를 서둘러 달라"고 부탁했다. 이에 앞서 지난 13~14일 사이 통영시 산양읍과 한산면 해상에서 쥐치와 돔류 23만4천마리가, 남해군 서면과 남면 해상가두리에서 참돔 등 21만3천여마리가 각각 폐사했다. 이정훈 지성호 기자 seaman@yna.co.kr (통영.남해=연합뉴스)
이에따라 통영시와 남해군은 전해수 황토살포기와 형망선, 바지선 등 선박 200여척과 해군 방제정, 동원해 적조발생 해상을 중심으로 황토를 뿌리는 등 적조방제작업을 벌이고 있다. 통영시와 남해군 관계자는 "비가 내리자 소강상태를 보이던 고밀도 적조가 맑은 날씨로 일조량이 증가하자 확산되면서 양식중인 어류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며 "적조방제작업과 함께 양식어류의 출하를 서둘러 달라"고 부탁했다. 이에 앞서 지난 13~14일 사이 통영시 산양읍과 한산면 해상에서 쥐치와 돔류 23만4천마리가, 남해군 서면과 남면 해상가두리에서 참돔 등 21만3천여마리가 각각 폐사했다. 이정훈 지성호 기자 seaman@yna.co.kr (통영.남해=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