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성 논란을 불러온 시멘트와 콘크리트의 중금속을 정부와 시민·주민단체, 업계가 합동으로 조사한다.
환경부는 14일 산업폐기물을 부원료로 쓰는 시멘트와 그 제품의 안전성을 투명하게 확인하려 ‘시멘트 소성로 관리개선 민·관협의회’를 구성해 15일부터 내년 2월까지 정밀조사에 나선다고 밝혔다.
시멘트 소성로에는 다량의 석탄재, 오니, 폐주물사 등이 부원료로 쓰이고 있으나, 시멘트 제품에 든 중금속 함량과 콘크리트 제품에서 녹아나오는 중금속 농도에 대해 조사기관마다 다른 결과를 내고 공인된 조사방법도 없어 논란을 불러왔다.
민·관협의회는 시판되는 국·내외 시멘트 제품 17종의 중금속 함량을 조사할 계획이다. 또 건물에서 채취한 콘크리트 코어와 시멘트와 모래를 섞어 직접 양생한 시험용 콘크리트, 폐콘크리트와 폐벽돌를 대상으로 녹아나오는 중금속을 조사할 예정이다.
오길종 국립환경과학원 자원순환과장은 “콘크리트가 일반인에게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려 모두 5일에 걸쳐 음용수를 콘크리트관에 흘려보낸 뒤 중금속을 재는 미국 시험법을 적용할 계획”이라며 “그러나 이번 조사로는 환경에 노출된 콘크리트의 장기영향까지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