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버스ㆍ기차ㆍ지하철 순 양호
지하철 1~3호선의 미세먼지 농도가 환경부의 `실내공기질 가이드라인'의 권고기준을 넘나드는 것으로 조사돼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환경부와 국토해양부는 지하철 1~4호선과 7호선의 열차 2대씩 총 10대에 대해 여름, 가을에 각각 1회씩 실내공기질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가을 조사 때 1~3호선의 미세먼지 농도가 `실내공기질 가이드라인'의 권고기준 중 `레벨1'을 초과한 것으로 측정됐다고 4일 밝혔다.
환경부는 작년 1월 도시철도와 열차, 고속형ㆍ직행형 시외버스 등 대중교통 수단에 대한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에 대한 실내 공기질 권고 기준을 레벨1(Level 1)과 레벨2(level 2)로 나눠 발표하고 대중교통사업자와 지방자치단체 등이 가이드라인을 지키도록 하고 있다.
레벨1은 평상시 관리 기준이며 레벨2는 혼잡시 넘어서는 안될 기준이다.
환경부가 이날 공개한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을 조사 때 미세먼지 농도는 지하철 2호선의 경우 레벨2(250㎍/㎥)를 넘어선 304.9㎍/㎥로 측정됐으며 1호선과 3호선은 각각 214.26㎍/㎥와 247.15㎍/㎥로 조사돼 레벨1(200㎍/㎥)을 웃돌았다.
4호선과 7호선은 각각 93.69㎍/㎥와 170.72㎍/㎥로 기준치 밑이었다.
여름철 측정에서는 조사 대상 모두 기준치 아래였다.
이산화탄소의 경우에도 전체 열차 모두 여름과 가을 공히 레벨1 권고기준(2천500ppm)보다 낮게 측정됐다.
환경부는 기차 6개 노선 12대와 버스 26개 노선 104대에 대해서도 같은 방식으로 조사를 벌인 결과 모두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의 레벨1 권고기준(미세먼지 150㎍/㎥ㆍ이산화탄소 2천ppm)보다 측정치가 낮았다고 밝혔다. 평균 측정치는 미세먼지의 경우 버스(66.6㎍/㎥), 기차(72.2㎍/㎥), 지하철(147.3㎍/㎥) 순으로, 이산화탄소는 기차(1천198.6ppm), 지하철(1천624.9ppm), 버스(1천652.9ppm)순으로 양호했다. (서울=연합뉴스)
환경부는 기차 6개 노선 12대와 버스 26개 노선 104대에 대해서도 같은 방식으로 조사를 벌인 결과 모두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의 레벨1 권고기준(미세먼지 150㎍/㎥ㆍ이산화탄소 2천ppm)보다 측정치가 낮았다고 밝혔다. 평균 측정치는 미세먼지의 경우 버스(66.6㎍/㎥), 기차(72.2㎍/㎥), 지하철(147.3㎍/㎥) 순으로, 이산화탄소는 기차(1천198.6ppm), 지하철(1천624.9ppm), 버스(1천652.9ppm)순으로 양호했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