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환경

[블로그] 부엉이 울음소리

등록 2008-04-08 15:09

천연기념물 제324호 솔부엉이
천연기념물 제324호 솔부엉이
요 며칠사이 귀에서 ‘부엉 부엉’하고 부엉이 우는 환청 음이 들려온다. 소리는 크게 들리기도 하고 작게 들려오기도 한다. 괴이한 일이다. 그러나 영문 모르는 일은 아니다. 며칠 전에 TV를 통하여 부엉이가 나뭇가지에 앉아서 우는 걸 보았는데, 그 후로부터 간헐적으로 들려오는 소리이기 때문이다.

화면으로 본 것이긴 하지만 부엉이 우는 소리를 들은 건 뜻밖이었다. 우연히 이리저리 채널을 돌리다가 ‘환경스페셜’이란 프로를 접했는데, 거기서 녀석이 울고 있었다. 암수가 각기 다른 나무에 앉아 수컷은 굵고 낮은 음성으로 소리를 내고, 암컷은 고음을 내어 울고 있었다. 마치 부르는 소리에 응답이나 하듯이. 프로에서는 녀석들이 우는 소리뿐 아니라 살아가는 생태 전반을 추적하여 보여주고 있었다.

그걸 보노라니 신기한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대개 노랑 눈을 가진 짐승들은 거지반 야행성이고 이놈들 또한 마찬가지로 주로 밤에 먹이사냥을 하는 줄은 알지만, 알을 품고 있던 암컷이 틈틈이 운동 삼아 바람을 쏘이고, 수컷이 물어다 준 먹이도 둥지에서 먹는게 아니라 밖으로 나와서 먹는 모습이 신기했다.

그리고 더욱 놀라운 것은 대부분의 짐승들이 발정기 때만 교미를 하는데 비하여, 녀석은 유대강화를 위해 수시로 짝짓기를 하는 것이어서 새로운 발견이었다. 이것은 최초의 발견으로 제작진은 이 새로운 사실을 학계에 보고를 했다고 한다. 수컷이 ‘부엉 부엉’하고 우니까, 암컷이 알아듣고 다가가 교미하는 것이었는데 처음 본 관경이었다.


이 밖에도 놀라운 것은 한치 오차도 없이 은밀하게 다가서서 먹이감을 채는 놀라운 사냥솜씨였다. 녀석들은 노루새끼에서 부터 꿩과 쥐 등 닥치는 대로 잡았다. 그런 사냥감은 한번 날카로운 발톱에 움켜쥐어지면 절대로 빠뜨리는 법이 없었 다.

놈은 한번 짝이 맺어지면 평생을 함께 살고 있었다. 그걸 보면 사랑의 상징인 원앙새가 평생 둘이 바람피우지 않고 해로하는 줄 알지만 사실은 바람둥이인 것을 생각하면 이 녀석들의 일구월심(日久月心)은 진정한 사랑의 화신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나는 어려서 부엉이를 보았다. 초등학교 저학년 때인데, 산에서 부엉이 새끼를 잡어와 기르는 사람이 있었기 때문이다. 아랫마을 용호부락 사람인데, 그는 토끼장같이 지어놓은 망 안에 가두어 놓고 있었다. 그때보니 녀석은 구경꾼들에게 이골이 났는지 보아도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커다란 눈을 부릅뜨고 앞만 바라보고 있을 뿐이었다. 그 모습이 사뭇 위압적이었다. 그러나 형형한 눈과 매서워 보이는 부리와는 달리 아직 몸뚱이는 가슴털이 솜처럼 부풀어 있어서 어린 티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고, 머리에 돋은 귓 털도 아직은 뚜렷하지 않았다.

부엉이와 올빼미의 구분은 귓털이 있는지 여부를 보면 안다. 둘 다 앞쪽에 자동차 헤드라이트처럼 큰 눈을 하고 있고, 고개도 좌우로 자유롭게 돌리고 발톱또한 갈퀴처럼 휘어져 있으나, 올빼미는 귀 털이 없는데 비해 부엉이에게는 그게 선명하다. 그런데 그때 본 녀석의 머리에는 아직 어린 탓인지 봉긋한 형태만 보였다.

사람들은 흔히, 무엇을 거저 얻는 것을 ‘부엉이 집을 얻었다’고 하는데, 내가 TV를 통해 본 것은 그렇게 다람쥐처럼 어디다 보관해 놓고 있지는 않은 것 같았다. 그러므로 그런 말이 생겨난 것은 어디까지나 녀석이 사냥을 잘하니까 한군데 몽땅 모아두지 않았을까 싶어서 지어낸 말이 아닌가 싶다.

부엉이가 새끼 키우는 법은 많은 걸 느끼게 해주었다. 처음에는 먹은 먹이를 토해 주지만 어느 정도 자라면 먹이를 물어다 주되 일부러 먹여주지 않는 것으로 보아, 철저히 자립심을 심어주는 행동으로 보였다. 그리고 덩치가 점점 커감에 따라 너른 마당으로 유도하여 뛰놀게 하는데, 이것도 성장을 위한 치밀한 배려로 보였다.

사람들이 아직 어린 아이의 성장을 무시하고 어릴 때부터 학원으로 내모는 현실을 생각하면 체력부터 튼튼히 키워주려는 행동은 가상해 보이기 까지 했다. 뿐인가. 어느 정도 성장하면 매정하게 내쳐버리고, 새끼도 또한 당연한 행동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보면서, 다 자란 사람들이 자립을 못라고 마마보이로 살아가는 것과 비교되어 많은 교훈을 주는 것이었다.

하지만, 내가 무엇보다도 여기에서 얻은 것은 부엉이의 생태를 간접적이나마 대하면서 그 울음소리의 실체를 이해한 점이다. 예전에 시골에 살적에 보면 초저녁 산길을 가면 소쩍새가 ‘소쩍 소쩍’울어 왠지 처량한 생각이 들다가도, 부엉이가 ‘부엉 부엉’울면 소름이 좍 끼쳐지곤 했는데, 그것은 결코 공포심을 느낄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제보니 그것은 자기의 존재를 알리는 신호요, 짝을 찾은 간절한 사랑의 세레나데였던 것이다.

그래서 지금 귓가에 울리는 환청도 실은 무섭거나 거부감이 일지 않고 감미롭고 정다운 소리로 들려온다. 은근하면서도 다정하게 들여온다.(2008)

(*이 기사는 네티즌, 전문가, 기자가 참여한 <블로그> 기사로 한겨레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한겨레 블로그 내가 만드는 미디어 세상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지금 당장 기후 행동”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