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확보·협력체계 모색
“국내역량부터 강화” 지적도
“국내역량부터 강화” 지적도
최근의 잇단 오보로 여론의 집중포화를 맞고 있는 기상청이 외국인 예보관 영입을 추진하고 있다.
기상청을 관할하는 이만의 환경부 장관은 22일 정례브리핑에서 기상예보가 맞지 않는 이유와 대책을 묻는 질문에 “가장 중요한 것은 인적 자원을 확보하고 운영하는 것”이라며 “전문가를 양성하고 재교육하는 것은 물론 우리보다 예보능력이 뛰어난 나라와 협력체계를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이 장관은 일본, 미국, 영국에 전문가 영입을 타진했으나 일본 쪽에서는 “파견 의사가 없다”는 답을 받았고, 미국과 영국으로부터는 아직 답변이 없다고 밝혔다. 기상청은 이들 나라에서 시험적으로 한 명을 예보관으로 영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외국인 전문가 영입은 오보를 줄이는 실질효과보다는 정치효과를 노린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기상연구소의 한 예보 전문가는 “관측데이터 자체가 부족한 상황에선 아무리 뛰어난 외국 전문가가 온다 해도 예보 정확도 향상에 큰 도움이 안 될 것”이라며 “지역 예보엔 지역 지형·기상에 밝은 지역 전문가가 최고라는 기상학 상식에 맞게 국내 전문가 역량부터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상청 고위관계자는 “외국과 우리의 차이를 고려해 예보관이 아닌 기상 자문관으로 받아들이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오철우 기자
ecothink@hani.co.kr
ecothin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