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례제정으로 지자체 구매율 늘어
지난해 공공기관의 친환경상품 구매액수가 제도 시행 5년 만에 처음으로 1조원을 넘어섰다.
환경부는 12일 지난해 697개 공공기관이 구매한 1조 9376억원의 물품 중 친환경상품은 69.3%인 1조 3437억원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도보다 구매액은 4821억원, 구매율은 11% 증가한 수치다.
기관별로는 친환경상품 구매실적이 정부업무평가에 반영되는 국가기관이 86.8%로 가장 높았고 정부출연연구기관이 57.5%로 가장 낮았다.
또 지방자치단체는 친환경상품 구매촉진을 위한 조례가 잇따라 제정되면서 구매율이 전년도 52.5%에서 63.9%로 크게 늘었다.
친환경상품 구매율은 중앙행정기관 가운데 금융위원회가 99.8%, 해양경찰청 96.9%로 높은 반면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사무처 25.1%, 옛 국정홍보처 27.7%, 방위사업청 32.9% 등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지자체 가운데는 부산 영도구청이 98.6%, 전북 전주시청이 98.5%로 높은 반면 인천 남구청 33.6%, 부산 강서구청은 41.3%에 그쳤다. 신총식 환경부 환경기술과장은 “친환경상품 구매품목의 57.3%가 사무용품과 사무기기에 집중돼 있고 전기자재나 설비류 등의 비중은 19.4%에 머물러 품목의 다양화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