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동북쪽 마리엔부르거에 건설된 저에너지 아파트 전경. (주민인 마틴 슈나우스가 건설 프로젝트를 설명하고 있다.
[환경통신] 독일 열손실과의 전쟁
일반 재건축보다 비용 5% 더 쓰고 효과는 만점
여름 열 저장해 겨울에, 겨울 찬공기 여름에 써
일반 재건축보다 비용 5% 더 쓰고 효과는 만점
여름 열 저장해 겨울에, 겨울 찬공기 여름에 써
에너지 컨설팅이 직업인 마틴 슈나우스는 예술가, 정치인 등 뜻이 맞는 사람들과 함께 앞으로 1백년 뒤 지구의 석유가 고갈된 뒤에도 쓸 수 있는 집을 짓기로 했다. 석유를 대신할 연료는 태양열과 나뭇조각, 그리고 단열이었다.
7일(현지 시각) 환경재단 기후변화센터 고건 이사장 등 방문단과 함께 독일 베를린 북동쪽에 위치한 슈나우스의 ‘저에너지 아파트’를 찾았다. 옅은 오렌지색과 노란색을 칠한 5층과 7층짜리 아파트가 놀이터, 자전거주차장, 담쟁이넝쿨이 우거진 벽을 사이에 두고 마주서 있었다.
이 아파트 지붕에는 43㎡ 넓이의 태양열 집열판이 설치돼 있고 지하실에는 이 지역 숲의 자투리 나무로 만든 펠릿을 연료로 하는 80㎾ 용량의 연소장치가 들어서 있다.
슈나우스는 “2006년 첫 겨울을 ㎡당 28㎏의 나뭇조각으로 나는 데 성공했다”며 “㎡당 3ℓ의 기름에 해당하는 에너지로 겨울을 따뜻하게 난 셈이어서 에너지효율이 예상보다도 훨씬 높았다”고 말했다.
이런 성과의 핵심요인은 완벽한 단열이다. 벽면은 16㎝, 지붕은 30㎝ 두께로 단열판을 깔았다. 창틀 등을 통해 열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꼼꼼하게 마감을 했고, 건물의 적외선 사진을 통해 단열상태를 점검했다. 이 아파트는 독일 정부의 저에너지주택 기준인 연간 ㎡당 에너지손실량 40㎾h 이하인 27㎾h를 기록해 정부로부터 이율 2.5%의 저리로 20년 장기대출을 받았다.
독일에서 주거 부문은 산업 부문보다 많은 전체 에너지 소비의 30%를 차지한다. 특히 난방과 온수 등 열 형태의 에너지 소비가 많아 가정에서는 전체 에너지 소비의 87%가 열이다. 따라서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보다 40% 줄여야 하는 독일 정부는 열손실을 막기 위해 혼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통독 이후 아직까지 재개발과 재건축이 활발한 동베를린은 저에너지 주택의 실험장이다.
슐체 보이젠 가에는 유럽 최대의 저에너지 아파트가 2006년 들어섰다. 지은 지 32년이 된 낡은 아파트를 재개발해 기존 아파트보다 에너지사용량을 절반 수준으로 줄인 것이다.
부동산업체인 호보게는 정부의 지원을 받아 방이 1~4개인 267세대의 소형 가구가 입주한 20층과 17층 두 동으로 이뤄진 고층 아파트를 지었다. 이곳은 에너지 절약과 효율화 기술을 본격적으로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단열재는 미네랄 울(암면) 성분으로 보통 건물의 2배인 벽 12㎝, 옥상 14㎝ 두께로 깔았고 3중창을 설치했다. 중앙환기장치가 각 세대의 욕실이나 부엌 등의 더운 공기를 빨아들여 새 공기를 데우는 데 쓴다. 방 위쪽에 뚫린 구멍을 통해 15~16도로 더워진 신선한 공기가 들어와 시간당 1.5회 환기가 이뤄진다. 이 장치는 나가는 공기에서 열의 73%를 회수한다.
이밖에 공용시설과 복도에 쓸 전기를 생산하고 폐열을 이용해 온수를 공급하는 열병합발전소, 절수형 변기, 공기방울이 섞여 물을 절약하고 세척력을 높인 수도꼭지, 절전형 전등이 설치돼 있다.
프로젝트 책임자인 구드룬 회프스는 “저에너지 재건축에 다른 재건축보다 5%밖에 비용이 더 들지 않았다”며 “주민들도 관리비가 적어 만족해한다”고 말했다.
발밑으로 연방의회 회의장을 내려볼 수 있는 투명한 돔으로 유명한 독일 연방하원 건물도 열을 최대한 알뜰하게 활용하는 기술을 간직하고 있다. 이 건물 지하 300m 지층엔 여름철 열병합발전소의 남는 열을 가두어 두었다 겨울에 꺼내 쓸 수 있는 소금물 지하수층이 있다. 또 60m 지하에는 겨울철 찬 공기로 냉각된 물을 저장했다가 여름에 냉방용으로 쓰는 또 다른 지하수층이 있다.
베를린/글·사진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이런 성과의 핵심요인은 완벽한 단열이다. 벽면은 16㎝, 지붕은 30㎝ 두께로 단열판을 깔았다. 창틀 등을 통해 열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꼼꼼하게 마감을 했고, 건물의 적외선 사진을 통해 단열상태를 점검했다. 이 아파트는 독일 정부의 저에너지주택 기준인 연간 ㎡당 에너지손실량 40㎾h 이하인 27㎾h를 기록해 정부로부터 이율 2.5%의 저리로 20년 장기대출을 받았다.
동베를린 지역인 슐체 보이젠 가의 서민아파트를 저에너지 아파트로 재건축한 모습.
| |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