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환경

‘450살 소나무’ 왜 죽었을까

등록 2008-11-09 19:15수정 2008-11-09 19:20

강릉 삼산리 천연기념물 8월 고사 판정
주민들 “관리 잘못” 시 “자연수명 다해”
오대산 소금강 들머리를 450년 동안 지켜오던 기품 있고 아름다운 ‘삼산리 소나무’가 마침내 수명을 다했다. 금강송의 상징이던 이 소나무의 넋을 달래기 위한 천도재가 이달 말 열린다.

지난 4일 강릉시 연곡면 삼산리의 소나무를 찾았다. 오대산 국립공원의 소금강 들머리의 주차장 바로 옆에 자리잡아 길에서도 한눈에 들어온다. 잔가지 없이 미끈한 줄기와 껑충한 키가 스리랑카의 거목 바오밥나무를 떠올리게 했다.

가까이 다가서자 거대한 몸피가 압도했다. 가슴높이 둘레가 3.6m에 이른다. 하지만 붉은빛이 사라진 껍질과 솔잎 하나 없이 앙상한 가지만 남아 생명의 흔적은 찾을 수 없었다.

“작년 봄까지만 해도 나무 꼭대기에 녹색 잎사귀가 조금 있었는데 ….”

어릴 때부터 이만했던 나무를 보고 자랐다는 마을 주민 김근영(56)씨가 안타까워했다.

문화재청은 1988년 삼산리 소나무를 천연기념물 제350호로 지정했다. 마을의 질병과 재난을 막아주는 나무로 주민의 보호를 받아온 서낭나무로서 민속학적, 생물학적 가치가 크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러나 2000년대부터 수세가 약화되면서 생육 상태가 급격히 나빠져 올 8월 고사 상태로 판정했다. 현재 문화재 지정 해제 절차가 진행 중이다.

하지만 소나무가 문화재로 지정된 뒤 시름시름 앓다가 죽은데 대해 주민들은 섭섭함과 원망을 토로한다.

김재복(48) 삼산리번영회장은 “가지를 너무 쳐내는 등 관리를 잘못해 수백년 멀쩡하던 소나무가 죽은 게 아니냐”고 말했다.

관리자인 강릉시는 소나무의 자연수명이 다했다고 본다. 조승호 강릉시 문화재전문위원은 “소나무는 400~500년이 되면 급격히 쇠퇴한다”며 “현재 삼산리의 다른 소나무를 문화재로 대체 지정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은 월정사와 함께 이달 말께 고사한 소나무 앞에서 죽은 소나무의 극락왕생을 비는 천도재를 지낼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는 작은 문화공연도 함께 열어 마을 주민들의 허전한 마음을 달래기로 했다.

강릉/글·사진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지금 당장 기후 행동”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