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은 소중한 것이고 지구에서 살아 움직이는 모든 생명체는 피조물이며 각각의 생명은 소중한 것입니다. 그러나 불행히도 우리나라 사람들 중에 일부 몰지각하고 자연의 소중함을 망각하고 정력에 좋다고 살아있는 동물에 대롱을 꽂아 피를 마시며 심지어는 외국에 나가서 웅담들을 산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습니다. 자신들의 잘못된 생각 때문에 살아있는 생명체를 아프게 하는 이러한 작태는 이제 그만 해야 할 때입니다.
풀밭에 누워서 휴식을 취하고 있는 사람을 생각하여 봅시다. 지나가던 개미가 통로가 막히니까 손으로 올라와서 물어 아프게 했습니다. 그렇다고 그가 화가 나서 주위의 모든 개미를 밞아 죽인다면 이만 저만한 횡포가 아니지요. 이런 행동의 저변에는 미물인 개미 주제에 만물의 영장인 나를 물다니 이런 괘씸한 놈이 있나 라고 하는 지극히 이기적인 생각이 깔려 있는 것입니다.
우리 인간이 지구에 살고 있는 다른 생명체보다 우월하고 그들을 마음대로 하여도 된다는 아주 잘못된 생각 때문에 지금까지 많은 동식물이 사라졌고 앞으로도 사라질 것입니다. 극단적으로 말해서 동식물이 사라진 지구에 인간만 생존하고 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얼마나 삭막하겠는가? 지금도 사이코패스니 연쇄살인범이니 하는 무리들이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데 인간만 남겨지면 우리가 상상도 할 수 없는 엽기적인 일이 연달아 발생하여 결국에는 인간도 모두 사라질 것입니다.
자연 보호가 절실히 요구되는 예들을 간단하게 소개드리겠습니다.
1. 동식물들은 자신을 외부의 침입에서 보호하기 위하여 살균력, 살충력이 있거나 침입으로 셍긴 손상을 치료할 수 있는 물질을 만들기도 합니다. 우리가 공장에서 이들을 만들려면 대단히 경비가 드는 알이지만 생물을 이용하면 아주 간단히 얻을 수 있습니다. 등산을 하면 몸과 마음에 좋다는 것도 이런 물질의 작용 때문입니다. 항생제 덕분에 인간의 수명이 아주 길어졌습니다. 물론 남용 오용의 부작용으로 내성 세균이 생겨나기도 합니다마는. 이 항생제도 미생물들이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만든 것을 인간이 이용하는 것입니다. 대장군을 이용하여 인슐린을 대량으로 합성하는 것도 또 다른 예가 되겠지요.
2. 우리는 녹용을 얻기 위하여 사슴을 필요로 하지요. 그런데 이리는 사슴을 사냥하여 인간에게 돌아올 몫을 뺏어가는 사악한 동물이므로 박멸해야 합니다. 이렇게 생각한 사람들이 어느 섬에서 평화롭게 서식하는 이리를 다 없앴습니다. 결과가 어떻게 되었느냐? 천적이 없어진 사슴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였습니다. 그런데 먹이는 한정되어 있으니 몇 년이 안 지나서 사슴의 수가 격감하여 그 이전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현상이 벌어진 것입니다. 크게 당황한 정부에서 비싼 돈을 들여 다시 이리를 수입하여 풀어놓는 일이 있었습니다. 인간이 생태계의 미묘한 균형을 임의로 파괴하였는데 복원할 수밖에 없었던 일인 것입니다. 실제로 미국 옐로스톤 국립공원에서 사라진 이리를 다시 데리고 와야 했던 이유이기도 합니다.
3. 수족관에 가면 돌고래, 범고래, 물개들이 벌이는 쇼를 보고 우리들이 즐거워하며 피로를 풀고 재충전의 시간을 가집니다. 그리고 TV 등의 매체를 통하여 자연이 생동하는 모습도 볼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이 결국은 우리 인간을 위한 것입니다. 자기 혼자 보려고 귀하고 아름다운 꽃이나 바위를 집에 가져와서 정원을 꾸미는 지극히 파렴치하고 이기적인 행동과 우리나라 일부 정력만 생각하는 몰지각한 사람들의 동물 박해는 자신들이 스스로 하지 말아야 할 폐습입니다.
우리 모두 인간이 모든 생명체 위에 군림하는 존재이며 우리들 마음대로 해도 좋다는 생각을 과감하게 버립시다. 농촌 경제일 때는 우리로 인하여 동식물들이 그렇게 심한 피해를 당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산업혁명 이후로 대량살상 무기가 등장하면서 우리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식물을 없앨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된 것입니다. 인도 전역에 서식하던 사자들이 이제는 서부의 좁은 구역에만 남아 있습니다. 그리고 다 알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상징이던 범이 사라졌습니다. 수입하여 다시 살리려면 여우, 늑대, 담비, 오소리, 곰 등의 동물들도 생태계를 고려하여 다시 복원시켜야 하는 안타까운 실정입니다.
이제는 우리에게 경고한 시애틀 추장의 충고를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합니다. 우리는 그들과 공존해야만 되는 존재들이라는 것을 한시도 잊어서는 안 됩니다. 이것은 바로 우리의 미래를 위한 것입니다. (*이 기사는 네티즌, 전문가, 기자가 참여한 <블로그> 기사로 한겨레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이제는 우리에게 경고한 시애틀 추장의 충고를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합니다. 우리는 그들과 공존해야만 되는 존재들이라는 것을 한시도 잊어서는 안 됩니다. 이것은 바로 우리의 미래를 위한 것입니다. (*이 기사는 네티즌, 전문가, 기자가 참여한 <블로그> 기사로 한겨레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한겨레 블로그 내가 만드는 미디어 세상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