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배포용, 곳곳 황당한 오류
북극 얼음덩이를 육지 빙하로 표현
북극 얼음덩이를 육지 빙하로 표현
네덜란드가 섬나라이고, 북극 바다에 육지에나 형성되는 빙하가 있다?
상식적으로 판단해도 황당한 이런 오류들이, 환경부가 만든 초등학생용 기후변화 교육 교재에 버젓이 포함된 것으로 1일 확인됐다.
환경부가 전국 6천여 초등학교에 배포하려고 5천만원을 들여 경북대 중등교육연구소에 용역을 맡겨 만든 이 교재는, 8쪽에서 물과 지구 온난화와의 관계를 설명하면서 “북극의 빙하가 녹으면 바닷물의 양이 늘어 육지가 잠긴다”고 서술했다. 하지만 북극에는 빙하가 없고 바다에 뜬 얼음만 있을 뿐이다. 물 위에 떠 있는 얼음은 그것이 물로 바뀌었을 때의 부피만큼 이미 물에 잠겨 있기 때문에 다 녹더라도 수면은 높아지지 않는다.
24쪽 해수면 상승의 피해를 설명하는 부분에서는, 대륙의 일부인 네덜란드를 해수면이 상승하면 물에 잠기게 되는 ‘섬 나라’로 묘사했으며, 바닷물 온도 증가나 바닷물 산성화에 따라 발생하는 해조류 소멸과 백화 현상까지 해수면 상승 때문에 일어나는 것으로 표현했다. 교재의 설명대로면 해조류가 물에 익사하는 꼴이 된다.
교재 10쪽에서는 100만명이 쓰레기를 10%만 줄이면 대기에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를 60만t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설명을 우리나라 전체 인구에 대입하면, 2006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이산화탄소 배출량(5억9950만t)의 절반인 3억t이 쓰레기에서 나온다는 이야기가 된다. 지식경제부가 지난달 2일 내놓은 2006년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를 보면, 국내의 폐기물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실제 1540만t에 지나지 않는다.
교재에서는 이밖에 쓰레기가 ‘부패하는’ 과정에서 주로 발생하는 메탄가스가 쓰레기를 ‘태우는’ 과정에서 나온다고 하고, 해수 온도 상승과 해수면 온도 상승을 혼동하는 등 곳곳에서 오류와 불명확한 표현들이 발견된다.
이 교재는 초등학교 교사 3명이 집필했으며, 한화진 청와대 환경비서관(당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등 7명이 자문위원으로 참여했다. 교재 제작을 총괄한 이동엽 경북대 중등교육연구소 연구원은 “편집 과정의 실수들이 그대로 나갔다”며 “자문위원들에게는 최고 90만원 가량의 자문료를 지급했다”고 말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교재에 다수 오류가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인쇄 작업을 중단하고, 오류를 바로잡은 뒤 다시 제작하겠다”고 말했다.
김정수 기자 jsk21@hani.co.kr
김정수 기자 jsk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