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 및 인천 일대의 해안선 변화
100년간 1400㎞ 줄어
우리나라 서해안의 길이가 90여년 만에 40%나 짧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간척이나 매립 등의 개발행위로 해안선이 직선화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8일 “지난해 서해안 자연경관 현황을 조사한 결과, 임진강과 한강이 만나는 한강 하구에서부터 전남 해남 땅끝마을까지 해안선 길이가 약 2100㎞로, 1910년대의 3500㎞가량에 비해 약 40%(1400㎞)가 짧아졌다”고 밝혔다.
특히 서해안의 굴곡도는 4.47로 동해안의 0.97보다는 높았지만 1910년대의 8.16에 견줘서는 절반 수준으로 떨어져 해안선의 직선화 경향이 뚜렷했다. 굴곡도는 해안선의 드나듦 정도를 수치화한 것으로, 값이 클수록 해안선이 복잡하다는 뜻이다. 이번 조사는 1910년대 발간된 여러 지도와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 사이 제작된 지도들을 비교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환경과학원은 서해안 지역이 애초엔 간조와 만조의 차이가 커 간석지(갯벌), 굴곡해안, 해안사구 등 고유한 자연경관이 발달했지만, 각종 도로와 산업단지 같은 해안 개발로 해안선의 길이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서민환 환경과학원 자연보전연구과장은 “서해 해안선에서 10㎞ 이내의 토지 50% 이상을 경작지와 주거지, 산업단지가 차지하고 있는 반면 녹지 비율은 20%에 불과하다”며 “인위적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해안에서 1㎞ 구간을 완충지역으로 둘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권은중 기자 detail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