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지사 당선자, 사례 조사·법률 검토 특위 꾸려
광주도 “수정”…대구·경북·전남은 “차질없이 추진”
광주도 “수정”…대구·경북·전남은 “차질없이 추진”
“6월2일을 4대강 사업 심판의 날로 만들겠다”고 약속했던 야당 광역단체장 당선자들의 발걸음이 점점 빨라지고 있다.
김두관 경남도지사 당선자의 도지사직 인수위원회는 9일 “인수위 안에 ‘4대강 환경 특별위원회’를 설치해 4대강 사업의 타당성을 행정적·법률적으로 검토하고, 이 사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해 바람직한 대안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특위는 전문가 4명으로 구성되며, 주민 대표와 환경단체 활동가 등 10명 안팎의 자문위원을 둘 예정이다. 여기엔 4대강을 반대하는 대표적 학자들인 박창근(관동대), 김좌관(부산가톨릭대), 박재현(인제대), 박현건(진주산업대), 장상환(경상대) 교수와 임희자 마산·창원·진해 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 등 환경 운동가들이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10일 오후 김두관 당선자와 첫 간담회를 열어, 활동 방향을 논의할 계획이다.
특위를 이끌 이봉수 인수위 부위원장은 노무현 전 대통령 농업특보 출신이며, 현 국민참여당 경남도당 위원장이다. 이 부위원장은 “4대강 사업 현장 곳곳에서 일어나는 초법적 사례들을 조사해 국민에게 알리고, 다른 지방정부와 공동대응하는 방안도 마련할 것”이라며 “특위는 인수위 활동 뒤에도 4대강 문제가 완전히 해결될 때까지 활동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강운태 광주시장 당선자도 “보 설치와 준설을 위주로 하는 방식의 4대강 사업은 잘못됐다”며 영산강 살리기 사업의 수정을 촉구하고 나섰다. 강 당선자는 “영산강 살리기 사업의 예산 2조7000억원 가운데 수질 개선비는 고작 3.7%인 1021억원에 불과하다”며 “보 건설과 준설에 들어갈 3000억원을 수질 개선비로 돌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한나라당 광역단체장들은 사업 추진 의지를 확인하고 나섰다. 한나라당 소속 김범일 대구시장과 김관용 경북지사는 이날 각각 기자회견을 열어 “대구·경북이 4대강 살리기 사업을 앞장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공동성명서에서 “사업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기 추진을 강력히 촉구한다”며 “낙동강 살리기 사업은 주요 공정의 진척도가 30% 이상 진행된 현시점에서 중단될 수 없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민주당 소속 박준영 전남지사는 4대강 사업에 반대하는 당론에 어긋나는 목소리를 내 당내의 비판을 받고 있다. 박 지사는 “영산강은 4대강 중 수질오염이 가장 심각하기 때문에 준설과 보 건설이 필요하다”며 “4대강 사업에 반대하는 야당 광역단체장 당선자들과 협의하겠지만 연대하지는 않겠다”고 밝혔다.
창원 대구 광주/최상원 박영률 안관옥 기자 csw@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