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위 휴식제·말라리아 진단장비 도입 등 담길 듯
‘무더위 휴식시간제’가 도입되고, 한반도 기후변화 시나리오가 개발되는 등 지구온난화에 대비한 국가적인 적응대책이 이르면 이달 안에 나온다.
환경부는 11일 “기후변화 감시·예측 능력을 높여 기후변화 적응 기반을 구축하고, 온난화에 따른 국민의 생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는 범정부 차원의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을 이달 안에 최종 확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온실가스를 줄이는 목적의 활동이 ‘기후변화 방지대책’이라면, 기후변화 적응대책은 향후 온난화가 온다는 전제 아래 관련 제도를 정비하고 산업을 준비하는 활동을 말한다. 환경정책평가연구원의 연구를 보면, 21세기 안에 한반도 평균온도는 약 4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환경부가 이날 공개한 적응대책 초안은 △기후변화 적응 기반 구축 △국민의 생명과 재산피해 최소화 △기후변화 기회의 최대화 △기후변화 적응형 한반도 조성 등을 뼈대로 한다. 이번 대책은 지난 4월 시행된 저탄소녹색성장법에 근거해 처음 수립되는 계획으로, 내년부터 2015년까지 적용된다.
정부는 우선 위성이나 항공기를 이용한 기후변화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현재까지 없던 국가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2012년까지 4개, 2015년까지 10개 개발할 예정이다. 농업 분야에선 기후친화형 적응 재배기술과 품종을 개발하고, 새로 유입되는 병충해에 대비해 ‘외래병충해 기상도’를 작성한다. 연안에 바다목장을 조성하고 인공어초를 개발해 보급하기로 했다.
국민 건강을 위해 무더위 휴식시간제를 도입하고, 말라리아 맞춤형 진단장비와 열대질환 진단법을 개발한다. 또한 홍수·가뭄 등 재해별 예·경보 시스템을 구축하고 풍수해보험을 매년 10% 확대할 예정이라고 환경부는 밝혔다.
환경부 관계자는 “관련 부처와 협의를 마치고 국무회의에서 대책이 확정되면 내년 상반기까지 세부 시행계획을 수립해 매년 이행 상황을 평가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남종영 기자 fand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