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 공구 착공 보류…사업 재검토특위 26일 출범
경상남도가 4대강 사업 구간 가운데 아직 공사를 발주하거나 시작하지 않은 5개 공구의 공사를 보류시켰다. 4대강 사업이 시작된 뒤 이에 반대하는 지방정부가 공사를 중단시키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또 경남도는 4대강 사업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할 특별위원회를 26일 공식 출범시킨다.
경남도는 23일 “김두관 경남도지사의 지시에 따라, 아직 본격적으로 공사를 시작하지 않은 낙동강 7~10공구 김해시 구간의 공사를 보류하고, 아직 발주하지 않은 낙동강 지류 남강의 47공구 사업도 보류시켰다”고 밝혔다.
정부는 경남 김해·양산 지역 10.4㎞에 걸친 낙동강 7~10공구에서 일부 구간을 준설하고 둔치에 자전거도로와 공원을 조성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김해시 구간인 상동면 매리·포산마을 등지 주민들은 보상을 거부하고 4대강 사업 반대운동을 벌여왔다. 반면 7~10공구 가운데 양산시 구간에서는 공사가 진행돼 왔다. 경남도는 낙동강 7~10공구를 김해와 양산으로 구분해, 김해 구간만 공사를 보류시켰다.
낙동강 지류 남강 구간인 47공구는 지난달 3일에야 설계가 완성돼 다음달 초 공사를 발주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경남도는 4대강 사업을 둘러싼 논란이 정리될 때까지 발주를 미루기로 했다.
경남도는 또 경남 지역의 4대강 사업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하기 위해, 강병기 정무부지사와 박창근 대한하천학회 부회장(관동대 교수)을 공동위원장으로 하는 ‘4대강사업 특별위원회’를 26일 출범시키기로 했다. 특위는 4대강 사업의 바람직한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경남에서 진행되는 모든 4대강 사업 현장을 방문해 점검할 예정이다. 낙동강 바닥에서 퍼올린 준설토로 농지를 높이는 성토(리모델링) 현장을 27일 방문하는 것을 시작으로, 농업용 저수지 증고(둑 높임) 사업과 함안보·합천보 사업 등을 점검하는 일정을 잡았다.
경남도는 “4대강 사업의 일부 구간 공사를 보류시킨 것은 공사를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와 협의해 더 나은 방안을 찾아보자는 뜻”이라며 “정부도 경남도에 해당 구간의 사업을 위임할 때 재협의가 가능하다고 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김철문 국토해양부 4대강추진본부 공사국장은 “아직 경남도의 통보를 받지 못했다”며 “경남도가 공식적으로 공사 중단을 요청하면 사업을 회수해 국토해양부가 직접 시행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창원/최상원 기자, 정혁준 기자 csw@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