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경남·충남도에 “사업 반납 여부 밝히라” 압박
침수 겪고도 홍수기 공사…시민사회 대화 제안 무색
침수 겪고도 홍수기 공사…시민사회 대화 제안 무색
정부가 4대강 사업의 타당성과 문제점을 재검토하기 위해 여름철 홍수기(6월21일~9월20일)만이라도 4대강 사업을 중단하자는 각계 원로와 종교인들, 시민단체들의 제안을 무시하고, 지난 7월16~17일 큰비로 공사가 중단된 함안보·합천보에서 공사를 재개했다. 더욱이 국토해양부는 4대강 사업에 비판적인 의견을 밝혀온 경남도·충남도에 공문을 보내 “위탁사업권을 반납하겠다면 중앙정부가 직접 공사를 하겠다”고 압박했다.
1일 한국수자원공사는 환경활동가 2명이 공사장 안 타워크레인을 11일째 점거하고 있는 경남 창녕군 길곡면 함안보 건설 현장에서 이날부터 콘크리트 보 구조물 건설 공사를 재개했다. 이곳은 아직 임시 물막이 안의 강물이 완전히 빠지지도 않은 상태다. 이에 앞서 수자원공사는 지난 18일 큰비가 그친 직후부터 부근의 준설 공사를 재개한 바 있다. 또 공사장 입구 쪽 계단식 어도(인공 물고기길) 공사도 26일부터 다시 시작했다.
역시 큰비로 공사를 중단했던 경남 합천군 청덕면 낙동강 합천보에서도 보 건설 공사가 재개됐다. 지난 16~17일 약 200㎜의 비가 내린 뒤 보 공사를 중단한 지 보름여 만이다. 한국수자원공사 관계자는 “공사장 임시 물막이 안의 물이 모두 빠져서 이날부터 보의 교각을 설치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치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영상] ‘4대강 다큐’…하늘공원에서의 일주일(평상필름 제공)
경기도 여주군 남한강 이포보 공사 현장에서는 지난 22일 환경운동가 3명이 30여m 높이의 보에 올라가 홍수기에라도 공사를 중단하고 4대강 사업을 재검토하자고 요구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하루도 빠짐없이 공사가 계속되고 있다.
이에 대해 박창근 대한하천학회 부회장은 “16~17일 큰비가 왔을 때 함안보와 합천보 건설 현장에서 강물이 임시 물막이를 넘는 데 걸린 시간은 예상의 3분의 1도 되지 않을 만큼 짧았다”며 “여름에 하천 공사를 하는 것은 이렇게 위험한데도 정부가 각계의 공사 중단 요구를 무시하고 공사를 강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더욱이 국토해양부는 4대강 사업에 제동을 걸고 나선 지방정부들에 “위탁받은 4대강 사업을 반납하겠다면 중앙정부가 나서 직접 공사를 하겠다”며 “사업권을 반납할지를 공식적으로 답변하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29일 국토부는 해당 국토관리청을 통해, 5개 구간 공사를 보류하겠다고 밝힌 경남도와 4대강 사업의 속도조절을 요구한 충남도에 공문을 보내 “4대강 사업을 계속할지, 위탁사업을 반납할지를 공식적으로 답변하라”고 요구했다.
국토해양부 4대강살리기추진본부 김희국 부본부장은 “자치단체장들이 4대강 사업을 정말로 못 하겠다고 하면 중앙정부가 (보 설치나 준설, 둑 보강 등) 치수 공사를 맡고, 지역 민원에 따른 하천변의 공원이나 자전거길 조성 등 생태하천 공사는 지방정부가 결정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환경운동연합 박창재 국장은 “4대강 사업과 관련해 국민과 소통하겠다고 밝힌 정부의 방침이 거짓임이 드러나고 있다”고 말했다. 창녕 부산/최상원 김광수 기자, 박영률 기자 csw@hani.co.kr
국토해양부 4대강살리기추진본부 김희국 부본부장은 “자치단체장들이 4대강 사업을 정말로 못 하겠다고 하면 중앙정부가 (보 설치나 준설, 둑 보강 등) 치수 공사를 맡고, 지역 민원에 따른 하천변의 공원이나 자전거길 조성 등 생태하천 공사는 지방정부가 결정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환경운동연합 박창재 국장은 “4대강 사업과 관련해 국민과 소통하겠다고 밝힌 정부의 방침이 거짓임이 드러나고 있다”고 말했다. 창녕 부산/최상원 김광수 기자, 박영률 기자 csw@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