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십만t의 산업폐기물이 불법 매립된 경남 김해시 상동면 감로리 낙동강 둔치 현장에서 30일 오후 경남도 낙동강특위 위원들이 현장 조사 작업을 벌이고 있다. 김해/이종찬 선임기자 rhee@hani.co.kr
‘부산시민 식수원’ 2km 상류에 산업폐기물 수십만톤 드러나
경남도 특위 “부산국토청, 몇달전에 알고도 조처 미적”
경남도 특위 “부산국토청, 몇달전에 알고도 조처 미적”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 구간인 경남 김해시 낙동강 둔치에 수십만t의 산업폐기물·잔토가 묻혀 있는 사실이 드러났다. 폐기물 매립지는 부산 시민 200만여명의 식수 취수장에 붙어 있어, 정부 계획대로 이 일대를 준설하면 환경오염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경남도 낙동강사업 특별위원회는 낙동강의 경남구간 공사를 전면 중단하고 정밀조사할 것을 정부에 촉구하고 나섰다.
경남도 낙동강사업 특별위원회는 30일 경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김해시 상동면 낙동강 8~9공구와 김해시 한림면 15공구 일대 약 100만㎡(30만평)에, 부산 건설공사 현장의 매립토와 산업폐기물 등이 적게는 수십만t, 많게는 수백만t 매립돼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부산지방국토관리청도 문화재 조사를 통해 지난 8월 상동면에만 6만3000㎡(1만9000평)에 폐기물이 매립돼 있는 점을 확인했다. 특위는 부산국토청이 확인한 면적에 메워진 폐기물 양만도 22만t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특위는 김해시 상동면 폐기물 매립지역은 낙동강 둑과 강물 사이 둔치의 길이 3.3㎞, 너비 300~500m 면적에 걸쳐 있으며, 깊이 2m로 추산할 경우 전체 매립량은 300만t에 이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부는 이 일대 둔치를 준설하고 일부에는 자전거도로와 생태공원을 조성하겠다며 경남도에 사업을 위탁했다. 이 계획대로면 폐기물의 3분의 1가량은 준설돼 주변 농경지 성토용으로 쓰고, 나머지 폐기물 매립지 위에는 생태공원이 들어서게 된다.
폐기물 매립이 확인된 지역의 하류 2㎞ 아래에는 부산 시민의 57%가량인 202만여명에게 하루 110만t의 먹을 물을 공급하는 매리취수장이 있다. 4대강 사업을 이대로 강행하면 폐기물의 유해 성분이 식수 취수원으로 흘러들어갈 가능성이 커, 식수원 오염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또 낙동강사업 15공구인 김해시 한림면에 묻힌 폐기물은 지난 6월 준설 과정에서 일부 흘러나와 주변 농경지를 오염시켰으나, 매립량은 물론 매립면적 등도 파악되지 않고 있다고 특위는 밝혔다. 이곳의 폐기물은 1990년대부터 부산 건설공사장에서 나온 것으로, 그동안 여러 차례 적발과 조사·처벌이 반복됐다. 그런데도 4대강 사업계획 확정 이전 부산국토관리청이 시행한 사전환경영향평가에도 이런 사실은 빠져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위는 “부산국토관리청이 이미 몇 달 전 이런 폐기물 매립 사실을 확인하고도 별다른 조처를 하지 않았다”며 “이 일대 폐기물 매립 실태 조사와 처리 방안이 마련될 때까지 이 구간 공사를 중단하고, 경남지역 다른 사업구간에서도 정밀조사를 벌일 것”을 정부에 촉구했다. 박창근(관동대 교수) 특위 공동위원장은 “환경영향평가서를 보면 토양조사 결과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되어 있는데, 정부가 4대강 사업을 준비하며 제대로 조사했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은 “김해시 상동면 일대는 폐기물이 발견돼 착공을 늦춰야 할 상황이며, 한림면 일대는 폐기물 매립 추정 구간을 빼고 준설작업을 펴고 있다”며 “지난 8월9일 경남도에 공문을 보내 이 사실을 알렸다”고 밝혔다.
창원 부산/최상원 김광수 기자 csw@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