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캐나다 퀘벡의 백석면연구소 앞에서 아시아와 캐나다 환경·산업보건 단체 회원들이 석면 광산 허가를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환경보건시민센터 제공
아시아 환경운동가들 원정시위
최근 캐나다가 1급 발암물질인 석면 광산을 새로 허가할 예정이어서, 아시아 시민사회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 인도네시아, 인도 등 아시아 환경·산업보건 단체로 구성된 아시아석면추방네트워크(공동대표 백도명 서울대 교수)는 지난 10일 캐나다 몬트리올과 퀘벡에서 항의 시위를 벌였다.
아시아에는 전세계 10대 석면 소비국 가운데 6곳이 밀집돼 있다. 현재 50여개국이 석면을 금지하지만 아시아에서는 한국·일본 말고는 모두 석면을 쓴다. 한국은 지난해부터 모든 형태의 석면의 수입·제조·사용을 전면적으로 금지한 바 있다. 미국 지리연구소가 집계한 자료를 보면, 2006년 한해 동안 중국이 53만1190t의 석면을 사용했으며, 이어 인도(37만3931t), 러시아(29만2541t) 순으로 석면 소비가 많았다.
캐나다는 아시아 지역에 대한 최대의 석면 수출국이다. 한국도 캐나다에서 가장 많은 석면을 수입했다. 캐나다의 퀘벡 주정부는 이달 안에 20만t을 생산할 수 있는 석면 광산을 새로 허가할 예정이다. 캐나다와 러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의 광산업계와 정부는 백석면의 경우 ‘조심해서 사용하면 안전하다’는 논리를 내세워 대만과 인도네시아, 인도 등으로 수출하고 있다.
아시아석면추방네트워크는 유해물질의 국가간 이동을 금지하는 국제조약인 ‘바젤협약’에 백석면을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캐나다, 러시아 등 석면 광산을 운영하는 국가들은 이에 반대하고 있다.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은 “캐나다는 법적으로 석면을 금지하지 않지만 일상에서는 거의 쓰지 않는다”며 “석면 산업이 일본에서 한국으로 이동한 것처럼, 석면 산업과 석면의 국가간 이동을 금지하고 피해를 조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남종영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