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평균 음식물 폐수처리량
지자체 태반 시설준비 미흡
음식물 폐수를 처리하는 데에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한국이 2009년 비준한 런던의정서에 따라 2013년부터 음식물 폐수의 해양 투기가 금지되기 때문이다. 런던의정서는 바다에 버려지는 폐기물을 최소화하기 위해 쓰레기의 해양 투기를 금지하고 있다.
정부는 1988년부터 군산 서쪽 200㎞(서해병), 포항 동쪽 125㎞(동해병), 울산 남동쪽 63㎞(동해정) 세 구역에 폐기물을 버리고 있다. 음식물 폐수와 하폐수오니가 전체 폐기물의 절반을 차지한다. 런던의정서에 따라 한국은 2012년 가축분뇨와 하폐수오니에 이어 2013년에는 음식물 폐수의 투기를 중단해야 한다. 의정서에 비준한 39개국 가운데 바다에 폐기물을 버리는 나라는 한국이 유일하다.
바다에 버려지는 음식물 폐수는 음식물 자원화시설에서 나온 물질이다. 2009년 기준으로 하루 4000t이 바다에 버려지고 있다. 2006년 5420t에서 매년 조금씩 줄어드는 추세지만, 내후년까지 완전히 없애야 한다. 한국해양연구원 특정해역보전관리연구센터의 정창수 책임연구원은 “음식물 폐수는 고농도의 유기물을 함유한 부영양화 인자”라며 “적당량이면 규조류를 성장시키지만 많을 경우 적조생물이 번성하면서 적조가 일어나 국제환경 문제로 비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음식물 자원화 과정에서 폐수 배출은 불가피하다. 가정과 음식점에서 모아 온 음식물은 젖어 있기 마련이고, 적당히 물기를 짜내야 사료나 퇴비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음식물 세척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물이 추가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일부 자원화시설에서는 일부러 물을 집어넣기도 한다. 사료나 퇴비 등 제품을 만드는 것보다 물을 넣어 폐수로 만들어 버리는 게 경제적이기 때문이다. 어차피 자원화시설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음식물 처리비용을 건네받기 때문에 시설 투자를 해서 상품을 만들지 않고 폐수로 배출하는 게 이득일 수 있다.
어쨌든 지자체들은 남은 2년 동안 음식물 폐수의 출구를 바다에서 육지로 전환해야 한다. 일부 지자체는 오염 기준을 맞춰 하수 처리로 전환했지만 대부분은 준비가 안 된 상태다. 환경부 관계자는 “우선 자원화시설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폐수량을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남종영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