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사용후 핵연료 저장 현황
시민단체, 순차적 폐기·추가건설 백지화 촉구
유치신청 지역서도 찬성보다 반대목소리 커져
35개 정당·단체 ‘공동행동 대책기구’ 꾸리기로
유치신청 지역서도 찬성보다 반대목소리 커져
35개 정당·단체 ‘공동행동 대책기구’ 꾸리기로
[일본 동북부 대지진] ‘원전 반대’ 여론 확산
일본 후쿠시마 원전의 잇따른 폭발 사고 소식에 시민들의 불안감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원자력발전소의 신규 건설 및 가동 연장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원전이 가동중이거나 원전을 유치하려는 지역에서 반대와 우려를 나타내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야당과 환경·시민단체들은 ‘핵발전 정책 전환’을 촉구하는 시민행동에 나서기로 했다.
부산환경운동연합·울산시민연대 등 부산과 울산의 시민사회단체 11곳은 16일 부산 기장군 고리원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후쿠시마 핵참사는 한 지역에 대규모 핵발전소를 집중적으로 건설하고 무리하게 수명을 연장해 가동한 것이 원인”이라며 “고리핵발전소 추가 건설계획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촉구했다. 고리에는 30년 설계수명이 끝나고 2007년 다시 수명을 연장해 가동중인 1호기를 비롯해 모두 4기가 가동중이다. 2023년까지 고리와 울산 울주군 서생면에 원전 8기가 추가로 가동될 예정이다. 박아무개(45·부산 기장군 장안읍)씨는 “일본의 원전 기술이 세계 최고라고 들었는데 여러 개의 발전소가 폭발하는 것을 보면 무조건 안전하다는 우리 정부의 발표를 믿을 수 없다”고 말했다.
광주환경운동연합도 15일 성명을 내어, 1986년부터 모두 6기가 가동중인 영광 원전에서 사고가 날 경우 “40여㎞ 안의 광주, 전남북 대부분, 대전·충남·경남 일부 지역이 영향권에 들게 된다”고 경고했다.
원전 유치를 신청한 강원 삼척, 경북 울진·영덕 등 3곳에선, 원전 유치에 따른 재정적 혜택 등으로 그동안 찬성 여론이 부각됐지만, 일본 원전 사고 이후로 반대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강원도 삼척시 누리집에는 일본에서 지진이 발생한 지난 11일 이후 원전 유치에 반대하는 의견이 찬성하는 의견보다 훨씬 많이 올라오고 있다. 원전 부지 후보지인 삼척시 근덕면의 주민들을 중심으로 꾸려진 ‘삼척 핵발전소 유치 백지화위원회’ 박홍표 신부는 “그동안 찬성 여론을 의식해 의견 한 줄 안 올리던 시민들이 시청 게시판에 반대 의견을 올리고 있다”고 말했다.
경북 울진·영덕군에서도 불안해하며 우려하는 분위기가 강해지고 있다. 울진사회정책연구소의 한 위원은 “일본 원전 사태에 불안하다는 주민들도 있다”며 “이전의 여론조사에서 원전 유치 찬성 의견이 높은 것으로 나왔지만, 지금 다시 여론조사를 하면 결과가 많이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원전 유치를 신청하지 않기로 한 전남 해남·고흥군의 ‘핵발전소 저지 해남군민연합’의 박종찬(44) 집행위원장은 “주민들이 전화를 걸어 ‘감사하다, 큰 고생 하셨다’며 격려해주신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날 민주당·민주노동당·진보신당 등 야당과 녹색연합·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참여연대·환경운동연합 등 시민사회단체, 삼척 핵발전소 유치 백지화위원회와 ‘영덕 핵발전소 반대 500인 결사’ 같은 주민단체 등 35개 정당·단체는 서울 종로구 환경재단에서 모여 ‘일본대지진·핵사고 피해 지원과 핵발전정책 전환을 위한 공동행동’이라는 대책기구를 꾸리기로 결정했다. 이들은 3월28일(1979년 미국 스리마일섬 원전 사고)부터 4월26일(1986년 러시아 체르노빌 원전 참사)까지를 ‘핵 위협으로부터 안전한 세상 만들기 시민행동기간’으로 삼아, 정부의 원전 확대 정책 전환 등을 촉구하고 일본 지진 피해자들을 돕는 활동을 벌이기로 했다. 부산 춘천/김광수 정인환 기자, 엄지원 기자 kskim@hani.co.kr
원전 유치를 신청하지 않기로 한 전남 해남·고흥군의 ‘핵발전소 저지 해남군민연합’의 박종찬(44) 집행위원장은 “주민들이 전화를 걸어 ‘감사하다, 큰 고생 하셨다’며 격려해주신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날 민주당·민주노동당·진보신당 등 야당과 녹색연합·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참여연대·환경운동연합 등 시민사회단체, 삼척 핵발전소 유치 백지화위원회와 ‘영덕 핵발전소 반대 500인 결사’ 같은 주민단체 등 35개 정당·단체는 서울 종로구 환경재단에서 모여 ‘일본대지진·핵사고 피해 지원과 핵발전정책 전환을 위한 공동행동’이라는 대책기구를 꾸리기로 결정했다. 이들은 3월28일(1979년 미국 스리마일섬 원전 사고)부터 4월26일(1986년 러시아 체르노빌 원전 참사)까지를 ‘핵 위협으로부터 안전한 세상 만들기 시민행동기간’으로 삼아, 정부의 원전 확대 정책 전환 등을 촉구하고 일본 지진 피해자들을 돕는 활동을 벌이기로 했다. 부산 춘천/김광수 정인환 기자, 엄지원 기자 ks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