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지천살리기 계획 포함…20여곳서 공사중
청계천식 인공 급수 ‘조경하천’ 변질 가능성 우려
청계천식 인공 급수 ‘조경하천’ 변질 가능성 우려
전국 도심에 있는 50개 복개하천을 서울에 있는 청계천처럼 생태하천으로 바꾸는 사업이 추진된다.
환경부는 “2015년까지 6대 광역시를 비롯한 전국 도심에 있는 복개하천 50개를 선정해 하천을 덮고 있는 콘크리트를 뜯어내고 원래의 모습으로 되돌려 생태하천으로 만들 계획”이라고 17일 밝혔다.
도심 복개하천 복원사업은 2009년과 지난해 10곳씩 20곳을 선정해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번에 30곳이 추가되는 것이다. 정부는 복개하천 추가 복원사업을 위해 올해부터 2013년까지 해마다 10곳씩 모두 30곳의 사업대상 하천을 선정할 계획이다. 앞서 선정된 20곳은 2015년까지 복원작업을 마치게 되며, 이 가운데 대구 범어천 등 두곳은 올해 안에 완공된다. 올해부터 2013년까지 선정될 30곳은 2017년까지 공사를 마무리한다는 목표를 잡고 있다. 이런 복개하천 복원사업 계획은 정부가 4대강 사업에 이어 추진하고 있는 ‘지류·지천 살리기 종합계획’에도 포함돼 있다.
복개하천 복원사업 대상지로 선정되면 광역시의 경우는 전체 사업비의 50%를, 그 밖의 다른 도시는 70%를 각각 국비로 지원해 준다. 환경부 관계자는 “복개하천의 경우는 생태계 훼손은 물론 수질 악화, 악취 발생 등으로 하천이 제 기능을 상실한 경우가 많다”며 “이번 사업이 주로 구도심 복개하천을 대상으로 이뤄지고 있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복개하천 복원사업이 청계천의 경우처럼 지하수를 인공적으로 끌어올렸다가 흘려보내는 ‘조경하천’ 방식으로 갈 가능성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명호 생태지평연구소 사무처장은 “지방자치단체마다 어떤 방식으로 복원사업을 진행하는지 지켜봐야 하겠지만 도심하천은 이미 주변에 도심공간이 형성돼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생태하천이 아닌 청계천처럼 물만 흐르게 하는 ‘조경하천’으로 변질될 가능성이 커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청계천은 하루 12만t의 물을 공급하기 위해 3만3000㎾h가 넘는 전기가 소비된다. 이는 약 3000가구가 하루 쓰는 전력량으로, 약 14t의 온실가스가 배출된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