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태워 얻는 에너지
40년새 90.5%→0.9%
당시 정부 의지도 한몫
40년새 90.5%→0.9%
당시 정부 의지도 한몫
“2000년 11월 고속도로로 남한을 달리면서 한 세대 전만 해도 헐벗었을 산마다 나무로 꽉 들어찬 모습을 보고 전율을 느꼈다. 여기서 나는 우리가 지구를 녹화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됐다.”
세계적인 환경 사상가인 레스터 브라운은 자신의 책 <생태 경제학>에서 이렇게 말했다.
일본의 식민지 침탈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거의 모든 산이 벌겋게 벗겨졌던 최빈국 한국에서 어떻게 녹화가 성공했는지는 국제적인 관심사다.
그러나 흔히 생각하듯 단지 나무를 많이 심는다고 녹화가 되는 것은 아니다. 심는 것보다 많이 베어내면 산림은 헐벗기 마련이다.
18세기부터 1960년대까지 벌목을 막는 엄격한 형벌규정이 있었고 막대한 양을 조림했는데도 산림 황폐화를 막지 못했다. 도시와 농촌을 가리지 않고 나무를 베어 아궁이에서 태워버렸기 때문이다.
전체 에너지에서 나무를 태워 얻은 에너지의 비중은 1950년 90.5%에 이르렀다. 그것이 1960년 62.5%, 1979년 21.6%, 그리고 1990년 0.9%로 격감한 과정이 바로 우리나라 산림녹화의 역사이다.
배재수 국립산림과학원 박사는 <한국임학회지>에 실린 논문에서 “1955년 당시의 연료재(목재) 소비량이 그대로 이어졌더라면 10년이 채 지나지 않아 우리나라의 산림 대부분은 황폐화되었을 것”이라며 무연탄의 보급, 도시로의 임산연료 반입 금지, 농산촌의 연료림 조성 등이 산림녹화를 성공으로 이끈 핵심적인 정책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이런 연료 대체도 경제성장과 소득 증가, 농촌 인구의 감소 등이 없으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또 박정희 전 대통령의 강력한 리더십도 무시할 수 없다. 산림녹화 사업은 1962년 경제개발 5개년 계획에 국가 주요사업으로 포함됐고, 1967년 산림청을 설립한 이후 1973년 시작한 제1차 치산녹화 10년 계획의 조림 목표량을 4년 앞당겨 달성했다.
1979년 시작한 제2차 치산녹화 10년 계획에서는 1차 때의 속성수 중심에서 경제수 조림 비중을 높였고, 인건비 등 비용 상승과 사회적 요구를 반영해 자연휴양림 조성 등으로 정책 방향을 옮겼다. 조홍섭 기자
1979년 시작한 제2차 치산녹화 10년 계획에서는 1차 때의 속성수 중심에서 경제수 조림 비중을 높였고, 인건비 등 비용 상승과 사회적 요구를 반영해 자연휴양림 조성 등으로 정책 방향을 옮겼다. 조홍섭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