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 전후 산모들에게 폐질환을 일으킨 것으로 추정되는 가습기 살균제의 피해 규모가 훨씬 클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환경단체인 환경보건시민센터는 13일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간질성 폐렴 등으로 숨진 영·유아가 수백명에 이른다”며 “가습기 살균제를 쓴 것으로 주장하는 유족들의 문제 제기가 잇따르고 있다”고 밝혔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이날 펴낸 보고서에서 “화학물질에 민감한 영·유아는 호홉 곤란을 호소하기 어렵고 열을 동반하지 않아 유사한 피해 사례를 놓치기 쉽다”며 “정부는 영·유아 사망을 포함해 폭넓은 피해 조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달말 정부는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 입원한 20살 이상의 폐질환 환자의 역학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가습기 살균제가 폐질환의 원인일 수 있다며 살균제의 판매·사용 자제 권고를 내렸다. 하지만 환경운동연합이 지난 2~7일 전국 10여곳을 확인한 결과, 서울·경기 부천·충북 충주·강원 속초 등에서 다양한 제품의 가습기 살균제가 팔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산 3종, 외국산 4종 등 7종의 가습기 살균제가 유통되고 있었다. 남종영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