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환경

꿀벌 길 잃고 여왕 줄고, 저공해 살충제 악영향 드러나

등록 2012-03-31 14:27수정 2012-04-01 14:50

▲ 농약에 노출된 꿀벌이 길을 잃지 않고 벌통에 돌아오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프랑스 연구진이 초소형 발신기를 부착한 꿀벌. 사진=악셀 드쿠티에 등, <사이언스>.
▲ 농약에 노출된 꿀벌이 길을 잃지 않고 벌통에 돌아오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프랑스 연구진이 초소형 발신기를 부착한 꿀벌. 사진=악셀 드쿠티에 등, <사이언스>.
<사이언스> 현장연구 두 편 실려…침투성 살충제 미량 노출돼도 치명적 영향
옥수수 등 저농약 살충제로 세계에 널리 쓰여, 미 환경보호청 등 규제 검토 나서
널리 쓰이고 있는 살충제가 벌들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두 건의 현장연구 결과가 나왔다. 소량의 농약에 노출된 뒝벌은 여왕벌 증식이 현저히 떨어졌고 꿀벌은 종종 길을 잃었다. 그러나 이 연구가 미국을 비롯한 세계적인 꿀벌의 ‘군집 붕괴 현상’이 살충제 때문임을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이번에 두 실험에 사용된 것은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의 침투성 살충제로 작물의 씨앗이나 토양에 뿌린 농약성분이 식물체에 흡수돼 이를 먹은 진딧물 등을 죽인다. 그러나 농약 성분은 꿀과 꽃가루에도 포함돼 꿀벌 등 꽃 가루받이 동물도 피해를 입을 우려가 제기돼 왔다. 1990년대 도입된 이 농약은 저공해 살충제로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으며 미국에선 옥수수의 거의 대부분에 살포되고 있다.

데이비드 굴슨 영국 스털링 대학 생물학자 등은 29일치 <사이언스> 온라인 판에 실린 논문에서 뒝벌에게 극미량의 네오니코티노이드 계 살충제가 들어간 꽃가루를 2주일 동안 먹인 뒤 6주 동안 방사해 벌통의 무게가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봤다.

그 결과 농약에 노출된 벌통은 그렇지 않은 벌통보다 훨씬 가벼웠다. 일벌이 꿀을 덜 가져와 일벌이 늘지 않는다는 것이다. 더 극적인 차이는 여왕벌의 수였다. 농약에 노출되지 않은 벌통에서 14마리의 여왕벌이 태어난 데 비해 오염된 곳에서는 2마리밖에 탄생하지 않았다.

▲ 농약으로 여왕벌 출생이 현저히 떨어진 뒝벌. 사진=위키미디어 코먼스.
▲ 농약으로 여왕벌 출생이 현저히 떨어진 뒝벌. 사진=위키미디어 코먼스.

악셀 드쿠티에 프랑스 국립농업연구소 연구원 등은 꿀벌 등에 초소형 발신기를 붙인 뒤 800m 이상 떨어진 곳에 풀어놓고 벌통에 돌아오는 비율을 비교했다. 그랬더니 농약에 노출된 꿀벌은 43.2%가 돌아오지 못했다. 정상 꿀벌은 16.9%만이 귀소하지 못했다.

네오니코티노이드 계 농약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생산하는 바이엘 사는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벌에게 노출한 농약의 양이 너무 많아 농약의 실제 위험성을 나타내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사이언스>는 이번 논문을 소개하면서 “많은 독립적인 연구자들은 세계적인 꿀벌 감소의 원인으로 농약만을 지목하지 않고 있으며 병균, 기생충, 서식지 감소 등을 주요 원인으로 함께 들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유럽식품안전국과 미국환경보호청 등 규제기관은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농약이 벌에 끼치는 위험을 평가하는 작업에 착수했다고 <사이언스>는 밝혔다.

■ 기사가 인용한 원문 정보

Penelope R. Whitehorn, Stephanie O’Connor, Felix L. Wackers, Dave Goulson

Neonicotinoid Pesticide Reduces Bumble Bee Colony Growth and Queen Production

Science DOI: 10.1126/science.1215025

Mickael Henry, Maxime Beguin, Fabrice Requier, Orianne Rollin, Jean-Francois Odoux, Pierrick Aupinel, Jean Aptel, Sylvie Tchamitchian, Axel Decourtye

A Common Pesticide Decreases Foraging Success and Survival in Honey Bees

Science DOI: 10.1126/science.1215039

Report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하태경 후보 “독도는 국제분쟁지역으로 공인” 망언
‘WH’, 닉슨 하야시킨 두 글자…‘BH’의 결말은?
민주 “이대통령 하야 논의할 시점”
충성도로 띄운 낙하산…‘방송장악’ 치밀했다
전모 드러난 불법사찰…MB, 해명해 보시죠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지금 당장 기후 행동”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