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운동연합은 1일 오후 인사동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미국과 호주가 주도하는 `기후변화에 관한 아ㆍ태지역 파트너십' 구성을 규탄하고 한국 정부의 탈퇴를 촉구했다.
이 단체는 "이번 파트너십은 교토의정서 발효로 국제적 고립을 당하고 있는 미국과 호주가 은밀한 거래를 통해 한국 등 다른 참여국을 끌어들여 구성된 것"이라며 "한국정부는 교토의정서를 와해하는 이 파트너십에서 즉각 탈퇴하라"고 요구했다.
이와 관련, 박선숙 환경부 차관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이번 협약은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위한 기술적 협력에 초점을 두고 있다"며 "한국은 그런 점에 주목하면서 이번 논의에 참여했다"고 말했다.
박 차관은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위한 기술적 협력에 주목하면서 참여했기 때문에 교토의정서의 주요 목표인 이산화탄소 감축을 달성하는 데 풍부한 수단이 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ㆍ미국ㆍ호주ㆍ중국ㆍ일본ㆍ인도 등 6개국은 지난달 말 에너지 효율화와 탄소저장, 메탄활용 등에 관한 첨단기술 및 수소 융합에너지를 포함한 차세대에너지 기술 등 다양한 기후변화 관련 기술의 개발과 이전에 협력하는 내용의 파트너십을 맺었다.
그러나 세계 환경단체들은 이 파트너십이 미국이 교토의정서 비준을 촉구하는 국제사회의 압력을 피하려고 내놓은 대안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올해 2월16일 공식발효된 교토의정서는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온실가스 감축량을 규정한 의정서로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25%를 차지하는 미국은 경제발전을 저해한다는 이유로 호주와 함께 가입을 거부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