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회 만장일치 통과…월성원전 인근 봉길리 터
반대시민대책위 농성 돌입…인접 울산시도 “반대”
경주시가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유치를 신청했다. 이에 따라 방폐장 유치가 거론돼온 전국 7개 시·군에서도 유치 신청이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
백상승 경주시장은 16일 “지난 5, 6일 이틀 동안 벌인 여론조사 결과, 유치 찬성이 반대보다 우세했다”며 “월성 원전에서 보관 중인 사용후 핵연료(고준위 폐기물)가 포화상태여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산업자원부에 유치신청을 했다”고 밝혔다. 신청 터는 월성 원전 근처인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 지역이다.
앞서 지난 12일 경주시의회는 의회를 찾아 항의하는 환경단체의 반대를 무릅쓰고 경주시가 제출한 방폐장 유치 동의안을 전체 의원 24명 중 22명이 참석해 찬반투표 없이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경주핵폐기장반대 범시민대책위는 이날 경주시청 앞에서 규탄대회를 열고 시의 방폐장 유치신청 포기를 요구하며 무기한 천막농성에 들어갔다. 범시민대책위는 “정부가 3천억원 지원을 미끼로 주민 사이에 갈등만 유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정준호 범시민대책위 대표는 “경주시가 핵폐기장 유치 인근지역인 양남·양북·감포면 주민들의 70% 이상이 반대하는데도 유치신청을 했다”며 “모든 수단을 동원해 핵폐기장을 저지할 것이며, 이제 제2의 부안사태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경주시와 이웃한 울산시와 시의회, 시민단체도 이날 경주시와 시의회를 방문해 “울산 인구의 90% 정도가 경주시가 방폐장을 유치하려는 월성을 기준으로 30㎞ 안에 거주하고 있으나 원전지원금은 인구가 28만명인 경주시가 챙기고 피해는 고스란히 경주시보다 인구가 4배 가량 많은 울산시민이 받게 된다”며 경주시의 방폐장 유치를 반대하는 항의문을 전달했다.
한편, 이번 경주시의 신청으로 방폐장 유치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다른 지자체의 움직임도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18일 시의회의 유치동의를 받은 전북 군산시는 다음주 중으로 신청할 계획이다. 울진과 포항 역시 지방의회에 유치 동의안이 상정되어 있으며, 영덕과 삼척도 이달 중 주민 여론을 확인한 뒤 유치 신청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달 말까지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유치신청을 한 지자체 가운데, 주민투표에서 찬성표가 가장 많이 나온 곳을 11월 중 최종 후보지로 선정할 방침이다. 홍대선, 경주 울산/박영률 김광수 기자 ylpa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