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보 물량 통계, 기관끼리 100만정 이상 편차
내년10배 추가확보 필요…구매계획조차 없어
내년10배 추가확보 필요…구매계획조차 없어
원전 사고에 대비해 비축해놓는 방호약품의 통계가 기관별로 다르고, 추가 구매가 필요함에도 구체적 계획이 세워지지 않은 등 원전 사고 대책이 미흡한 것으로 지적됐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의 이개호 새정치연합 의원은 8일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 국정감사에서 “원전 사고 때 방사능 요오드 피폭에 의해 발생하는 갑상선암을 예방하기 위해 복용하는 방사선 방호약품 ‘요오드화칼륨’(KI)의 확보 물량이 원안위는 387만7506정이라 하고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506만10정이라고 하는 등 기관별로 다른 통계를 제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이는 방호약품의 구매·배포는 한수원이, 보관 관리는 기초자치단체가, 관리 감독은 원안위로 업무가 나뉘어 있기 때문이다. 원자력병원처럼 구매·보관·관리의 일원화 체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요오드화칼륨은 방사선 비상 사태 때 주민들이 대피하면서나 대피한 뒤에 갑상선암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한명 당 10정을 복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 의원은 “2011년 일본 후쿠시마원전 사고 뒤 비상계획구역이 내년부터 현행 8~10㎞에서 16㎞로 늘어남에 따라 비상 방호약품 복용 대상자도 40만명에서 최대 420만명으로 늘어나는데도 원안위, 한수원, 지자체가 서로 책임만 미뤄 구매계획조차 수립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 의원은 세계보건기구가 갑상선방호약품의 경우 40살 이상에게는 복용을 자제 내지 금지할 것을 권고하고 있음을 고려해 모든 주민을 복용 대상자로 하고 있는 우리 방침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근영 선임기자 ky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