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억2000만년 전 중생대 육식공룡의 뼈 화석이 국내 처음 발견됐다. 24일 국립문화재연구소는 경남 하동군 금성면 가덕리 지층에서 최근 수습된 공룡 뼈 화석을 공개했다. 지난달 낚시꾼 신고로 확인된 이 골격 화석은 육식공룡인 수각류의 두개골(사진 맨 왼쪽 튀어나온 검은 부분)과 척추뼈(중간 길쭉한 부분), 갈비뼈(오른쪽 덩어리진 뼈) 등으로 추정된다. 생존 당시 몸길이 50㎝ 미만인 초소형 희귀 공룡으로 보인다고 연구소 쪽은 밝혔다.
국내서 발견된 적 없는 수각류 추정
초소형 희귀성 높아…주변 추가조사
초소형 희귀성 높아…주변 추가조사
공포의 육식공룡 티라노사우루스가 한반도에도 살았을까?
경남 하동의 땅 속에서 1억2000만년 전 육식공룡의 뼈 화석이 국내 처음 나왔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하동군 금성면 가덕리의 중생대 백악기 지층에서 보존상태가 양호한 중생대 육식공룡의 골격 화석 1점을 확인해 분석중이라고 24일 밝혔다.
이 화석은 지난달 8일 현장에 낚시를 하러 갔던 조인상씨가 발견해 신고하면서 알려졌다. 연구소 쪽은 신고를 받고 현장에 나가 뼈를 수습하고 분석한 결과, 육식공룡인 수각류(獸脚類: 티라노사우루스처럼 두 발로 이동하며, 날카로운 이빨로 육식을 했던 공룡의 한 종류)의 골격임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발견된 공룡 화석은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견된 바 없는 수각류 공룡의 두개골과 아래턱으로 추정된다. 공룡 화석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인 쑤싱 중국학술원 교수와 케킨 가오 베이징대 교수 등이 육식공룡의 골격으로 공인했다고 연구소 쪽은 설명했다. 두개골의 크기는 길이 약 5.7㎝, 폭 2.6㎝이며, 보존된 골격 전체의 몸길이는 약 28㎝다. 생존했을 당시의 전체 몸길이는 50㎝도 안 되는 초소형 희귀 공룡이다. 척추뼈와 갈비뼈가 이어진 채 발견돼, 이들이 화석화되는 과정을 규명하는 것도 관심을 모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소 쪽은 “이 골격 화석 외에 또 다른 개체로 보이는 골격 화석이 함께 확인돼 조사가 끝나면 두 마리로 밝혀질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하동 가덕리 지역의 지층은 중생대 백악기 전기의 하산동 층에 해당한다. 하산동층은 1억1천만~1억2천만년 전 중생대 백악기 전기에 해당하는 지층으로, 국내에서는 용각류 공룡인 부경고사우루스와 익룡의 이빨 화석 등이 발견된 바 있다. 연구소는 발견된 공룡뼈에 대한 화석 전문 보존처리 작업과 함께 뼈가 발견된 주변 지역에 대한 정밀조사에 들어갈 예정이다.
노형석 기자
경남 하동에서 나온 1억 2000만년전 육식공룡의 두개골 추정 화석(왼쪽 시커먼 뼈). 오른쪽 흰 뼈는 비교하기 위해 놓은 홍머리 오리의 두개골이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