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환경

[멸종위기동식물] 포유류 ④수달

등록 2005-09-27 18:33수정 2005-09-28 16:02

일본에는 수달이 없다

‘아틀란티스의 사나이!’. 1970년대 어린 시절을 보낸 필자의 마음을 온통 생물체의 신비에 대한 충격으로 이끌었던 옛날 외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제목이다. 그 상상의 요체는 아가미가 달려 있어 물 속에서 살아가는 어떤 인간의 활약상이었다.

지금도 수달이라는 동물을 보면 가끔 그 드라마의 기억이 떠오르곤 한다. 물론 수달은 아가미가 없고 허파로만 호흡하는 포유동물이다. 하지만 물에서 자유자재로 활동하는 그들을 모습을 가만히 지켜보노라면 우리 포유류들의 진화과정을 잠시나마 훔쳐보는듯 하여 즐겁다.

약 3000만년전 수달은 땅에서만 살아가던 동물이었으나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땅보다는 물에서 더욱 활동을 잘 할 수 있도록 변해 왔다. 다리는 짧아졌으며, 몸뚱이는 매끈하고 길다랗게 변했다. 앞 뒷발에는 넓적한 물갈퀴가 생겨나 물 속 생태계를 호령하는 최고의 물고기 사냥꾼이라는 별칭도 얻게 되었다.

우리나라에는 한 종류의 수달만이 살고 있으나, 이 지구에는 돌멩이를 사용해서 조개를 깨먹는 해달, 악어와도 감히 대적하는 아마존의 큰수달을 포함해 총 13종류의 수달이 있다. 이들은 예로부터 전세계적으로 주요 밀렵 대상이었다. 물에서 주로 활동하다 보니 가죽의 털 밀도가 높고, 방수·보온능력이 좋아서 수달의 모피는 비싼 가격에 거래되곤 하였던 것이다.

조선왕조실록을 뒤져 보면 수달피는 고려인삼과 함께 우리나라의 중요한 교역 품목이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지금은 밀렵이 금지되고 법적인 보호도 받고 있지만, 제어하기 힘든 새로운 종류의 위협이 등장하고 있다. 바로 하천개발에 의해 수달의 집이 사라지는 현상이다.

보통의 동물들은 자신에게 위협이 닥치면 땅 위를 이리저리 헤매며 피해다닐 수 있다. 그러나 수달은 강물이라는 한줄기 선 위에서만 살아가야 하는 취약성을 가지고 태어났다. 인류의 하천 이용이 확대되면서 하천은 콘크리트 제방으로 둘러쳐지고, 안전지대에 있던 수달의 집들도 점점 노출돼 큰 위협에 처하게 되었다.

우리보다 먼저 급속한 경제개발을 경험한 일본의 경우, 1980년대에 수달들이 모두 사라지고 지금은 20여개의 박제만이 보존되어 있다. 일본의 전철을 되밟아서는 안된다. 그들의 경험을 우리는 생생한 교훈으로 삼을 수 있어야 한다.

금강산에서 발원한 강물 하나가 북한강을 지나 한강으로 내려간다. 예전에는 이 강물에 소금배가 천천히 지나가고, 물 속에는 수달들이 한강 하류까지도 온전히 살고 있었다. 지금 이 물줄기만을 놓고 보자면, 주로 강원도 권역의 북한강 상류지역에만 수달이 온전히 살아갈 뿐, 하류지역의 환경조건은 크게 달라졌다. 금강산 쪽의 수달들은 어떻게 되었는지 그 소식은 더더욱 들리지 않는다. 우리의 강과 계곡 속에서 수달들이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찾기가 필요하다. 한성용 한국수달연구센터 소장 hansy@wildlife.re.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지금 당장 기후 행동”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1.

전광훈 ‘지갑’ 6개 벌리고 극우집회…“연금 100만원 줍니다”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2.

하늘이 영정 쓰다듬으며 “보고 싶어”…아빠는 부탁이 있습니다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3.

‘윤석열 복귀’에 100만원 건 석동현…“이기든 지든 내겠다”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4.

검찰, 김정숙 여사 ‘외유성 출장’ 허위 유포 배현진 불기소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5.

‘장원영’이 꿈이던 하늘양 빈소에 아이브 근조화환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