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회의·한국환경교육학회·한국환경교육네트워크·한국와이엠시에이전국연맹·한국환경교사모임 등 환경·교육단체 회원들이 4일 오후 교육부의 ‘2015년 교육과정’ 공청회가 열리는 충북 청주시 한국교원대 교원문화관에서 ‘환경교육 위기에 대한 학계·교육계·시민사회 공동선언문’을 발표하고, 교육부에 개정 교육과정에서 환경교육을 삭제하려는 계획을 포기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이 선언에는 4일 현재 413개 단체와 개인 3248명이 함께했다. 환경교육센터 제공
환경단체들과 환경교육학계, 환경교사 모임 등이 교육부가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환경교육을 제외하려는 것을 강력 비판하고 공동 대응을 선언하고 나섰다.
한국환경회의·한국환경교육학회·한국환경교육네트워크·한국와이엠시에이전국연맹·한국환경교사모임 등 413개 단체는 4일 충북 청주시 한국교원대 교원문화관에서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의 환경교육 위기에 대한 학계·교육계·시민사회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선언문에서 “새 교육과정은 기후변화를 비롯한 심각한 환경위기에 직면한 지구공동체의 부름에 역행하고 있으며, 어느 부분에서도 인간 이외의 생명·생태에 대한 존중이나 배려는 찾아보기 어렵다”고 지적하고 “환경교육을 유지하고 환경과목의 선택권을 보장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교육부가 제시한 교육과정에서 39개의 범교과 주제가 10개로 줄면서 환경교육이 제외됐을 뿐 아니라 자유학기제 도입에 따른 교과시수 감축·정보과목 의무 편성과 진로과목 선택 강조 등에 따라 환경과목이 고사위기에 놓이게 됐다고 주장했다.
김정수 선임기자 jsk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