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수준을 보인 날 서울 일대가 뿌옇게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공장 많고 화력발전소도 있는데…함안·고성 등 11개 시·군 측정망 없어
전국서 초미세먼지 농도 높은 편…경남도 “2019년까지 7곳 신설”
전국서 초미세먼지 농도 높은 편…경남도 “2019년까지 7곳 신설”
입자 크기가 너무 작아 사람 눈에 거의 보이지 않는 초미세먼지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다.
PM 2.5로 불리는 초미세먼지는 입자 지름이 2.5㎛(1㎛는 1천분의 1mm) 이하다.
지름 10㎛ 이하인 미세먼지(PM 10)의 4분의 1 크기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호흡기에 잘 걸러지지 않고 사람의 폐까지 곧바로 들어가 각종 질환을 일으킨다.
산업단지와 화력발전소가 많은 경남에서는 초미세먼지 측정치가 전국에서도 높은 수준이어서 선제적인 대응책이 필요하다.
15일 경남도 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도내 대기오염측정망 운영 결과 PM 10은 53㎍/㎥, PM 2.5는 28㎍/㎥이다.
PM 10은 전월(59㎍/㎥)보다 낮고 PM 2.5는 전월(26㎍/㎥)보다 높았다.
지역별로는 창원, 진주, 거제, 양산, 하동 등지가 PM 10, PM 2.5 모두 대체로 높은 편이다.
경남은 전국 주요 도시와 비교하면 PM 10은 인천(72㎍/㎥), 대전·광주(64㎍/㎥), 울산(61㎍/㎥), 부산·대구(60㎍/㎥)보다 낮아 중간 정도의 오염도를 보였다.
그러나 PM 2.5는 오염도가 높았다.
인천(31㎍/㎥), 서울(30㎍/㎥), 부산·광주(29㎍/㎥)에 이어 5번째 수준이다.
산업단지와 화력발전소 등 초미세먼지 원인물질을 배출하는 사업장이 많기 때문이다.
창원, 진주, 거제, 양산 지역 등은 산단이 많고, 산단 중 도장 유기용제를 많이사용하는 조선산업체가 산재해 있다.
사천과 하동에는 석탄 화력발전소 영향으로 PM 2.5 수치가 다른 지역보다 높게 나온 것으로 보인다.
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조선산업체와 화력발전소 등에서 배출하는 질소산화물이 각종 화학물질과 반응해 오염물질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보인다”며 “산업구조가 획기적으로 바뀌지 않는 한 초미세먼지는 더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PM 10과 비교해 인체에 더 악영향을 미치는 PM 2.5 측정망은 부족한 실정이다.
도내 7개 시·군, 20곳의 대기오염측정망 중 초미세먼지를 측정할 수 있는 곳은11곳뿐이다.
산단이 급격히 늘어난 함안과 화력발전소가 있는 고성을 포함해 11개 시·군에는 아예 측정망이 없다.
측정망을 갖추려면 대략 한 곳당 1억5천만원 안팎의 예산이 들고 초미세먼지 측정장치를 추가하려면 3천만원 정도가 더 들어가는 사정을 고려하면 예산 확보가 시급하다.
이에 대해 경남도는 2019년까지 7개 시·군에 7곳의 측정망을 신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존 측정망까지 합치면 14개 시·군, 27곳으로 늘어난다.
신설하는 곳은 측정망 미설치 지역의 대기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시·군 경계 지점 등에 설치할 계획이다.
미세먼지 배출업소들과 협약을 체결해 초미세먼지 저감대책도 시행 중이다.
지난해 6월 미세먼지를 많이 배출하는 발전업과 철강업 등 도내 15개 기업체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자발적 환경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당시 협약에 참여한 기업들은 2019년까지 먼지와 황·질소산화물을 기준연도인 2012년과 비교해 먼지 231t, 황산화물 2천43t, 질소산화물 3천715t 등 모두 5천989t을 줄여나가기로 했다.
경남도 환경정책과 관계자는 “인체에 곧바로 침투하는 초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대기오염측정망을 신설하고 기업체들과 체결한 미세먼지 저감 협약에 대한 평가도 진행 중이다”며 “대기오염물질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