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청계천 복원 평가토론회 열어
청계천 복원 한 달을 맞아 시민단체들이 모여 `청계천사업 평가토론회'를 열고 "청계천 복원사업은 역사와 환경의 `복원'이 아닌 자연을 거세한 `개발사업'이었다"고 평가했다.
경실련과 녹색연합, 참여연대 등이 모인 `올바른 청계천복원을 위한 연대회의'는 2일부터 이틀간 경실련회관 강당에서 `서울시 청계천사업 평가토론회'를 열고 역사와 문화, 시민참여, 환경, 도심재개발 등 4개 부문에 걸쳐 토론했다.
단국대 조명래 교수는 미리 배포한 환경부문 발제문에서 "서울시의 청계천복원사업은 건설회사 CEO출신 이명박시장의 `뜯어내고 물을 흘려보내는' 토목적 관점을 근간으로 한다"며 "환경.역사복원이라는 선전과 달리 실제로는 하천토목적 관점에서 인공적인 하천을 조성한 것이 전부였다"고 비판했다.
조교수는 "시장임기 내에 사업을 마쳐야 한다는 원칙하에 복원사업이 추진되면서 공사과정에서 많은 문화유산이 훼손됐고, 한강물을 끌어올려 흘려보내는 방식 때문에 생태계 복원에도 실패했다"고 평가했다.
한국문화유산정책연구소 황평우 소장은 역사.문화분야 발제문에서 "청계천 복원사업은 문화와 환경을 내세워서 개발을 강행한, 복원을 빙자한 청계천 개발사업이었을 뿐"이라며 "문화재청이나 시민단체들이 이러한 개발중심의 복원사업에 반대했지만 결국 바로잡지 못했다"고 평했다.
그는 "600년 간 수도의 배수구였던 청계천은 선조의 유물을 간직한 문화인류학적 보고였기에 이번 복원사업은 묻힌 역사를 찾아낼 수 있는 처음이자 마지막 기회였으나 개발일정을 맞추느라 제대로 된 발굴작업도 못한 채 시멘트로 메워지게 됐다"고 지적했다.
이밖에도 전국빈민연합 최인기 사무처장은 청계천 복원사업에 밀려 이 지역에서 쫓겨난 노점상과 철거민들의 생존권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고 주장했고 연세대 이재선 교수는 "청계천이 시민을 위한 공간이 되려면 주변지역에 대한 고층ㆍ고밀도 개발사업을 면밀히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김병조 기자 kbj@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병조 기자 kbj@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